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인간의 지구 사용법 문제의식 공생 위한 ‘생태적 감수성’ 공유

9월 22일까지 백남준 작품 등 총 10팀 전시
지구의 서식자로서 인간의 권한에 의문 제기
인류세 통과 위해 필요한 ‘생태감각’ 제안

 

 

 

■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 ‘생태감각’

“이번 전시는 미술관의 새로운 존재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종의 문화예술 공유지로서 미술관이 가능할 것인지, 그 질문의 연장선에서 나온 주제입니다.”(이채영 백남준아트센터 학예팀장)

백남준아트센터는 공생을 위해 필요한 인간의 새로운 감각을 제안하는 특별전 ‘생태감각’을 오는 9월 22일까지 개최한다.

‘생태감각’ 전은 생태학에 대한 백남준의 비전으로, 인간 행동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낙관적인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전시는 그 믿음을 바탕으로 이른바 ‘인류세’라 불리는 시대를 우리가 함께 통과해 나갈 수 있을지, 서로가 서로에게 응답해주어야 할 때임을 일러주고 있다.

이번 전시는 지구 생태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인간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하고, 후기 자연 혹은 인류세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의 심각함을 느끼면서도 인간 종의 지속성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땅 아래 묻어 버리는 지구 사용법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전시는 백남준 작가의 작품과 함께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 리슨투더시티, 박민하, 박선민, 아네이스 톤데, 윤지영, 이소요, 제닌기, 조은지 작가까지 총 10팀의 작품을 소개한다.

전시장은 ‘인간의 자연’과 ‘서식자’ 라는 주제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인간의 자연’에서는 인간에 의해 확장되고 구성되는 자연이라는 주제 아래 백남준의 ‘사과나무’, ‘다윈’, 또 이소요의 ‘TV정원: 주석’과 윤지영의 ‘에라’, 아네이스 톤데의 ‘체르노빌 식물표본’, ‘갈랄리트’, ‘카본블랙’, 제닌기의 ‘선구체Ⅰ,Ⅱ’ 가 전시된다.

 

 

이 섹션에서는 텔레비전을 환경으로 인식한 백남준의 미디어 생태학에서 시작해 목가적 자연 풍경의 이면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생존의 현장을 기록한 이소요의 작품, 인간 중심의 자연관을 철회할 것을 요청하는 아네이스 톤데의 작품을 거쳐 기술의 재료가 되어왔던 물질을 새롭게 감각해볼 것을 제안하는 제닌기와 인간의 욕망과 기술 발전 사이에 균형 감각을 찾고자 하는 윤지영의 작품이 전시된다.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기술을 발전시키며 인간이 자연과 맺어온 관계에 대해 성찰하고 자연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를 제안한다.

이어 ‘서식자’에서는 현대 생태학의 기원이 된, 한정된 시스템으로서의 지구에 대한 성찰과 그곳에서 서식하는 서식자의 목소리를 담았다.

박민하의 ‘대화77-08-12’는 달 탐사 이후 우주선 지구호로서의 한계를 인식한 인류가 타자에 대한 열린 마음으로 시작한 우주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것이다.

이어 지구생태계의 오랜 서식자인 인간의 주거지와 도시 생태계의 이야기를 담은 리슨투더시티의 ‘장소상실’과 동물권에 대해 작업해온 조은지 작가의 신작 ‘문어적 황홀경’, ‘봄을 위한 목욕’, ‘개농장 콘서트’를 함께 소개한다.

인류세를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시적 통찰과 감각을 보여주는 박선민의 영상 작품 ‘버섯의 건축’, ‘고속도로 기하학2’, 한반도의 멸종위기 식물의 서식처에서 소리를 채집해 미래의 도서관 목록을 만든 신작 ‘속삭임과 잠의 도서관’은 이미 다가와 있는 미래에 대한 우리의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변이를 만드는 ‘발효’ 작용에 주목해 이를 새로운 삶의 양식으로 제안하는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의 ‘발효컬트’는 생태학을 정치나 경제와 같은 분과가 아니라 하나의 세계관으로 정의한 백남준의 사유를 떠올리게 한다.

이를 통해 작가들은 지구의 서식자로서 인간을 포함한 지구의 생명체들이 공존 및 공생하기 위해 필요한 감각이 무엇인지 묻는다.

이번 전시와 관련해 이채영 학예팀장은 “지구라는 태생부터 지어진 공유지에 대해 다급한 외침이 들려오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태에 대한 다양한 전시가 열리고 있는 것은 분명 이유가 있다”면서 “우리에게 처해진 상황에 대한 절박한 요구들에 예술가들이 응답하는 부분들이 있고, 또 그런 부분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미술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학예팀장은 “백남준 선생의 사유 체계 내에서 우리 모두가 같이 공유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다”며 “사유와 공론의 장이 펼쳐지는 미술관의 정체성을 앞으로도 계속 추구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최인규기자 choiinkou@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