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공무원이 예산 편성과 집행의 부당성을 폭로하는 투서를 익명으로 고양시의원에게 보내 파문이 일고 있다.
A시의원은 최근 우편으로 ‘고양시 공무원의 한 사람’이라고 밝힌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A4 용지 2쪽 분량의 투서 한통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제보자는 투서에서 ‘혈세가 헛되이 낭비되고 특정업자를 배 불리기 위해 편법을 동원하는 이상한 행정에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투서에는 예산 편성과 집행의 부당함이 구체적으로 묘사돼 있다.
제보자는 실무부서에서 추진할 사업계획과 예산을 판단해 예산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비서실 등이 개입돼 실무부서에 지시, 예산이 세워진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예로 수의계약이 가능한 100만~2천200만원의 용역, 위안부 관련 사업, 각 동 축제비 등을 꼽고 B과장이 대부분 업자를 배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B과장이 직접 품의서 뒷면에 계약업체의 이름을 연필로 써주면 실무자가 보고 난 뒤 지우는 방식이라고 구체적인 방법까지 적시했다.
특히 그는 잦은 축제성 행사에 대해 ‘올해 300~400회의 축제와 공연행사가 있었다’며 ‘이는 (시장이) 자신의 얼굴을 알려 다음 선거에 재선되기 위한 사전선거운동 성격이 짙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비서실 관계자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 공개토론으로 결정한 사안에 대해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을 때 체크를 한 적은 있지만 개입한 적은 없다”며 “특정업체와 계약을 요구했다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