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열리는 1월 임시국회가 대선 이후의 첫 임시회인데다 야당의 대대적인 대여공세에 맞서 여당도 적극 공세에 나설 방침이어서 여야간 격론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기현,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11일부터 의사일정 협의에 돌입, 오는 21∼22일로 예정된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시작으로 정부조직 개편안, 국무총리·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쌍용자동차 국정조사 실시여부 등 쟁점을 다룰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를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첫 인사로 규정, 과거 보수·친일 편향 판결논란과 헌법재판관 재임시 부적절한 관용차 사용 등을 문제삼아 반드시 낙마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비판을 정치공세로 일축하면서 적극 대응에 나설 태세다.
해양수산부 부괄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등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놓고도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인수위 소속 현직 의원을 통해 의원입법 형식으로 발의될 가능성이 큰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관련해 아직은 야당이 관망중이지만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골격이 나오면 여야간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여야 대격전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이는 인수위 단계부터 불거진 ‘깜깜이 인사’, ‘밀봉 인사’, ‘불통 인사’로 비판하고 있는데다 이른바 ‘허니문 기간’에도 야당의 날선 공격대상이 된 만큼 청문회에서는 훨씬 더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쌍용자동차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여부가 주요한 쟁점으로 따오르고 있다.
쌍용차가 지난 10일 무급휴직자 455명을 복직시키면서 새누리당은 더이상 정치권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 논리를 내세우는 반면, 민주당은 쌍용차 사태의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반드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다만 헌정회 연로회원 지원제도 폐지, 국회의원 영리업무 겸직 금지, 예결위 일반 상임위, 국회 정치쇄신특위 가동 등은 여야가 큰 틀에 합의한 바 있으며, 취득세 감면 연장에 관한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안도 여야간 공감대가 이뤄지면서 국회에서 통과될 것으로 관측된다.
각 상임위는 지난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치르면서 여야가 제시했던 각종 민생법안 처리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