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의 차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대 룰의 핵심인 모바일투표 폐지론을 놓고 계파간 이해가 엇갈리면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모바일 투표가 계파별 유불리와 직결, 당내에서 친노·주류와 비주류가 찬반 논란으로 맞서 향후 전대 과정에서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은 경선 흥행과 국민참여 확대 등을 위해 지난해 실시된 민주당의 1·15, 6·9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에 친노·주류측 주도로 모바일 투표를 도입했다.
하지만 표심 왜곡과 동원·조작 가능성, 그리고 시스템 불안정과 오류 등으로 대선후보 경선 당시 일부 주자들의 보이콧 사태까지 촉발하는 등 시행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과 후유증을 드러냈다. 지난해 총선 후보공천 과정에서는 모바일 투표 선거인단 모집과 연관된 자살 사건까지 발생했다.
비주류는 이같은 부작용과 폐해, 전대의 공정성 확보를 들어 모바일투표 폐지를 제기하고 있다.
비대위원인 설훈(부천 원미을) 의원은 “조작 가능성 등 위험성이 있어 또 도입하면 당이 큰일 난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문병호 비대위원은 “모바일 선거에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문병호(인천 부평갑) 의원도 “국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모바일 투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이었지만 그것을 지난 대통령 경선에 실천을 해보니까 문제가 많은 제도”라며 “기술적 결함 등 여러 문제로 표심을 왜곡할 수 있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비주류 중진의 김영환(안산 상록을) 의원도 “모바일 투표는 소수의 조직된 사람들에 의해 당심을 왜곡한다”면서 “모바일 투표가 없는 전당대회를 하게 된다면 당지도부는 혁신적인 지도부로 바뀌게 될 것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정청래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모바일투표 폐지 주장은 대선에서 문재인 전 후보를 찍었던 48% 지지자들이 원하는 방향과 정면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라며 “절대 폐지 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친노계 박범계 의원도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민주당의 역사가 됐다”며 “단점과 폐해가 있다면 기술적으로 보완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전대를 앞둔 모바일투표제 논란이 계파간 논란으로 비화되고 있어 존폐여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