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1일부터 이틀간 국회의원·지역위원장 워크숍을 개최,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와 함께 향후 진로를 모색할 예정이어서 당내 친노·주류와 비주류, 탈계파 모임간 격돌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차기 당권투쟁의 향배를 가를 전당대회 룰을 비롯해 시행과정의 폐해를 드러낸 모바일투표 폐지여부, 새 지도부의 임기 및 지도체제 형태 등을 놓고 계파간 힘겨루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민주당은 1박2일 일정으로 충남 보령의 한화리조트에서 워크숍을 갖고 대선패배, 정치혁신, 전대 과제 등 3가지 주제별로 끝장토론을 벌인다.
각 주제별로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 정해구 정치혁신위원장,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의 기조발제에 이어 자유토론으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비상대책위 출범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대선평가의 원을 놓고 친노 당권파의 패권주의를 겨냥한 친노·주류와 비주류간 거센 책임공방을 빚을 전망이다. 이와 맞물려 표심 왜곡과 부정경선 가능성을 빚은 모바일투표 폐지여부도 논란거리다.
전대를 거쳐 새로 출범할 새 지도부의 임기의 경우 내년 실시될 지방선거까지 당 개혁에 나설 수 있도록 2년으로 해야한다는 입장과 동시에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임기인 내년 1월까지 한정해야 한다는 당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혁신 과제에 있어선 계파주의 청산과 기득권 타파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인 가운데 당 차원에서 계파해체 선언문의 채택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또 당의 정체성과 향후 노선을 설정하는 문제도 계파간 논란을 빚을 전망인 가운데 2월 임시국회 및 ‘박근혜 정부’의 출범을 앞둔 체제 정비와 내부단속 효과도 기대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