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2일 오후 청와대에서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강행에 대한 대책을 협의, 정권 이양기에 흔들림없는 대북정책을 견지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은 이날 오후 3시부터 23분간 청와대 백악실에서 단독 회동을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특히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강력한 권고에도 불구하고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을 자초하는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두 사람은 또 북한이 이번 핵실험을 통해 얻을게 없으며 오히려 국제사회로부터 점점 더 고립돼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당선인은 이 대통령에게 “북한이 그동안 우리나라와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와 만류에도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세계적으로 고립을 자초하는 일”이라며 “북한이 정권교체기에 도발을 한 것은, 이런 시기에 우리 정부와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혼란에 빠뜨리려는 게 아닌가 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동은 정권교체기를 틈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함에 따라 ‘안보 공백’ 사태를 차단하고 국민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이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또 현 정권과 차기 정권이 북핵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단호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만에 하나 발생할지 모르는 북한의 추가 도발을 사전에 억지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한 것으로 여겨진다.
박 당선인도 별도의 입장 발표문에서 “새 정부는 강력한 억제력을 토대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할 것”이라며 “북한이 정부 교체시기에 무모한 행동을 하여 국민 여러분이 불안해하시지 않도록 현 정부와 야당측과 외교 및 안보문제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에서 ‘지진파가 포착됐다’는 보고를 받자 예정된 수석비서관회의를 취소하고 오후 1시부터 1시간20분간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NSC회의를 주재했다.
박 당선인도 핵실험 관련내용을 보고받은 뒤 새 정부의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내정자 등 10명이 참석한 긴급회의를 소집, 향후 대응책 및 현 정부와 협조방안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