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명한 미래창조과학부 등 11개 부처 장관 내정자 평가 대해 여야 이견이 엇갈렸다.
새누리당은 “해당 분야 전문성 갖췄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반면, 민주통합당은 “국회 입법권 무시·침해한 일방적 국정운영”이라고 비판했다.
이상일 새누리당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분들이거나 박 당선인의 국정운영 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는 분들”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한 뒤 “새누리당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들 후보자의 도덕성과 능력, 자질 등을 철저하게 검증하고 나서 적격 여부를 판단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대변인은 “오는 25일 출범하는 새 정부의 국정운영에 큰 차질이 빚어지지 않으려면 정부조직 개편을 위한 관련 법안들이 속히 국회에서 처리돼야 한다”며 “민주당이 여야 협상에 보다 열린 자세로 임해주길 기대한다”고 민주당의 협조를 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브리핑을 통해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여야간 협의가 이뤄지기 전 박 당선인이 11개 부처 장관 내정자 인선을 발표한데 대해 “국회 입법권을 무시한 내각 인선 강행”이라고 비판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의 논의와 협의를 무시하고 입법권을 존중하지 않는 자세로 받아들여질 것”이라며 “그렇지 않아도 얼어붙은 여야 협상에 찬물을 끼얹는 일방적 국정운영 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문성과 자질 뿐 아니라 새 시대에 맞는 도덕적 자격을 가졌는지 엄격히 확인하는 ‘디테일 청문회’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김용준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이 정부조직법 통과에 대한 야당의 협조를 주문한 것과 관련해서는 “야당이 손목을 잡으려고 하는데 발목을 내밀며 일이 꼬이게 하는 것은 새누리당”이라며 “새누리당과 협상팀이 재량권을 가질 수 있도록 박 당선인이 결단해줘야 한다. 재량권 없는 여당은 허수아비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비서실장 인선이 늦어지고 있는데 대해선 역대 정권의 사례와 비교,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지”라며 “박 당선인의 국정 구상에 동지는 간데 없고 비서만 있는 게 아니고서야 인선이 이렇게 늦어질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