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4·24 재보선의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에 대한 무(無)공천 여부를 둘러싸고 연일 논란을 거듭하고 있다.
당 공천심사위원회가 대선공약 이행 차원에서 무공천 방침을 확정한데 대해 지난 20일 열린 중진·최고위원연석회의에 이어 21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일부 최고위원들이 공천 권한까지 제기하는 등 잇따라 강도높게 비판하면서 제동을 걸고 나서 진통을 겪고 있다.
전날 무공천에 비토 의견을 제기한 심재철(안양 동안을) 의원은 이날도 목소리를 높였다.
심 최고위원은 “기초단체장·기초의원 공천 폐지는 당의 공약이고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서도 그렇게 돼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여야가 함께 약속하던지 법 개정을 통해 공동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특히 “공천신청 후보자가 있는데도 심사조차 하지 않고 무공천을 결정한 권한이 공심위에는 없다”면서 “공천을 하느냐 마느냐는 최고위의 권한”이라고 말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무공천 공약을 4·24 재보선에 당장 적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의견이 상당하다”면서 “민주통합당은 정당공천을 하겠다는 입장인데 우리만 이렇게 서두를 필요는 없다. 게임의 룰은 모두에게 적용돼야 하며 우리만 손발을 묶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시 “공심위는 ‘공천을 할 수 있다’는 기본적인 전제하에 공천 신청자들에 대한 심사를 하는 권한과 의무를 갖는 기구”라면서 “아예 공천을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공심위 본래의 주어진 기능을 벗어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같은 무공천 방침 비판이 잇따르자 공심위원장인 서병수 사무총장은 “공심위원들의 자체적인 생각만으로 무공천을 결론을 내린 것이 아니다”면서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들과의 논의를 거치고 또 최종적인 양해를 얻어 무공천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무공천에 대한 장단점을 이미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선 총선 때 국민과 한 약속은 정당과의 약속보다 더 우선시돼야 한다”며 무공천 방침을 고수했다.
조원진 전략기획본부장도 “지난 대선 때 대통령 후보자가 기초단체장·기초의원에 대한 무공천을 공약할 때 당 지도부에서 누구도 반대하지 않았다”면서 “얼마 지나지도 않은 지금 그런 (반대입장) 표명을 당원의 이름을 걸고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거들었다.
이같은 새누리당의 무공천을 둘러싼 찬반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다음주 중 최종 결정여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