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수행평가 개선안을 내놓았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기존 지침을 되풀이한 수준이라는 지적과 함께, 실질적인 구조 개편 없이는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크다.
교육부는 지난 2일 ‘중·고등학교 수행평가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수업시간 내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과제형·암기형 수행평가는 지양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해당 방안은 오는 2학기부터 전국 중·고등학교에 적용된다.
당초 수행평가는 지필고사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생의 사고력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 방식으로 도입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과제와 발표가 쏟아지며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커졌고, 일부에서는 수행평가 과중으로 자퇴율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있다.
전국중등교사노동조합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교사의 약 80%가 “현재 수행평가 제도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많은 교사들이 ‘평가를 위한 평가’로 전락한 현 상황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교육부는 이를 바로잡겠다는 취지에서 개선안을 내놨지만, 현장 교사들의 평가는 냉담하다. “이미 하고 있는 내용을 지침으로 반복한 것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형식적 개선에 그친 채 평가 구조 자체에 대한 논의가 빠졌다는 비판도 나온다.
특히 경기도는 전국 시도교육청 중 가장 세부적인 수행평가 운영 지침을 적용하고 있어, 오히려 교육청 차원의 행정이 평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수행지옥을 끝내겠다'고 말했지만 도교육청은 과도하하고 세분화된 지침으로 부담을 가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수행지옥을 끝내고 싶다면 그 지옥을 만든 규정과 행정부터 걷어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희정 경기교사노조 대변인은 "교육부의 수행평가 개선 방안은 기존 지침의 반복에 지나지 않는다"며 "수업 시간 내 수행평가 진행, 암기형 평가 지양 등은 이미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사항들"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경기도의 경우 세분화된 지침과 평가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어 학생, 교사 모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수행지옥을 끝내기 위해서는 반복적이고 동일한 지침이 아니라 수행평가를 둘러싼 불필요한 행정 절차와 평가구조의 대대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