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8곳 중 1곳이 수도권 외 지방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한 취업 지망생을 1명도 합격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이 지방대학 졸업자와 여성 채용에 점차 인색해지면서 신규 취업자 중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295개 공공기관의 수도권 외 지역인재 채용 인원수는 7천561명으로 전체 신규채용 인원인 1만4천864명 중 50.9%를 차지했다.
이는 정부가 알리오시스템을 통해 295개 공공기관의 경영정보를 집적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비수도권 지역인재는 서울·경기·인천지역을 제외한 지방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 재학·휴학 중인 사람을 의미한다.
전체 공공기관 취업자 중 수도권 외 지역인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58.4%를 시작으로, 2009년 58.3%, 2010년 54.2%, 2011년 52.9%로 매년 하향곡선을 그리다 지난해에는 가까스로 절반을 넘긴 수준에 머무르는데 그쳤다.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 지방대 채용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한 30%를 충족하지 못하는 공공기관은 127곳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43%에 달했다.
공공기관의 여성 인력 채용도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인원 1만4천864명 중 여성은 5천990명으로 40.3%였다.
이는 2008년의 50.5%보다 10%p 이상 급감한 수치로, 알리오에 관련 통계가 집적되기 시작한 이후 5년 동안 가장 낮은 비율이었다.
신규 채용자 중 여성 비율은 2009년 45.6%, 2010년 43.7%, 2011년 42.2%였다.
정부 관계자는 “지방 인재를 30% 이상 채용하라는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강제 규정은 아니다”라며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현실화되고 지방대학 육성법이 제정되면 채용 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 인재에 대한 형평성 문제는 자연스럽게 보정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 문제의 경우 단순히 신규 채용보다 간부 비중을 확대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성을 설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