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선 지자체들이 올해 초부터 지속적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한 차량등에 대한 집중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파트나 대형마트 등 단속대상 시설에 불법 주차를 일삼는 얌체 운전자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더욱이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단속은 상시 단속이 이뤄지는 일반 불법주정차 단속과 달리 단속차량이나 단속인력 배치조차 전무한 상태로 대부분 신고·접수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29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 1월부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한 차량등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도내 31개 시·군에 마련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대상으로 불법주차 행위 등에 대한 집중단속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 홍보를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시설주관기관(시·군·구)인 각 지자체마다 단속반을 구성해 지난 6월까지 2천744건을 적발한 고양시를 비롯해 성남(1천396건), 용인(1천13건) 등 총 7천948건의 주차위반 행위를 적발, 과태료를 부과했다.
그러나 집중단속에도 도내 아파트 및 대형마트, 병원, 공공건물 등에 마련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는 여전히 얌체 운전자들이 불법 주차를 일삼고 있어 근복적인 해결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수원의 한 대형마트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30여대) 중 절반 이상이 주차가능 표지조차 부착되지 않은채 주차돼 있었고, 화성의 A아파트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또한 주차가능 표지 미부착 차량들이 주차를 일삼고 있었다.
경기도 장애인편의시설설치도민촉진단 한 관계자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얌체 운전자들의 불법 주차행위가 계속되고 있지만 각 지자체에는 단속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공무원 조차 없는 실정”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상시 관리·감독을 할 수 있는 감시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일부 운전자들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불법 주차하는 경우도 있지만 지난해보다 단속 및 신고건수가 2배 이상 증가하면서 많이 개선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홍보 및 단속활동을 꾸준히 펼쳐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