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商議, 현지 국내기업 조사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현지 노무비 상승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상공회의소는 최근 대한상의가 중국 진출 국내기업 201개를 대상으로 올해 임금·사회보험·복리후생비를 포함한 노무비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10%이상 늘었다는 기업이 72.6%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 가운데 20%이상 상승했다고 답한 기업도 14.4%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 조사에서도 10%이상 상승했다는 응답이 75.6%로 조사되는 등 중국 현지 노무비가 2년 연속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상의는 중국 시장에서의 노무비 상승 요인으로 ▲소득분배제도 개혁을 내세운 중국정부의 최저임금 인상정책 ▲중서부지역 등 지역균형 개발정책에 따른 저임금노동력 유출 ▲어려운 일을 기피하는 새로운 세대 등장을 꼽았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노무비 상승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61.2%는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답했고, 5.5%는 ‘경쟁력을 거의 상실했다’고 응답해 노무비의 상승이 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노무관리 애로사항으로 ‘급격한 임금상승’(50.5%)과 ‘사회보험 및 복리후생비 증가’(46.2%)를 지적했다.
‘필요인력 구인난’(44.6%)과 ‘높은 이직률(44.1%)’ 및 ‘핵심 전문인력 구인난’(32.3%) 등도 경영상 어려움으로 꼽혔다.
기업들은 ‘품질개선 등 내수확대’(53.2%)와 ‘자동화 등 생산시스템 개선’(42.2%), ‘현지인 고용확대 등 인력구조 조정’(26.6%), ‘제품단가 인상으로 수익성 개선’(22.5%) 등을 통해 노무비 상승에 대응하고 있지만, ‘중국 외 저임금 국가로 사업이전’(7.5%)이나 ‘중국내 저임금 지역으로 사업이전’(5.2%)을 고려하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오천수 대한상의 베이징사무소장은 “주거비 등 생활물가의 지속적인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중국내 급격한 노무비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기술혁신과 판매확대 노력으로 노무비 부담을 상쇄해 나가는 한편, 전문인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 개선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