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도시균형 개발을 위해 ‘수원 R&D Science Park’ 조성을 추진 중인 가운데 최근 이 일대에서 고수익 보장을 미끼로 한 ‘기획부동산’이 활개를 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입북동 등 해당지역은 개발제한구역과 절대농지 등으로 토지 취득 자체가 쉽지 않은 상태지만 제주도 등에 이어 서수원 일대가 기획부동산들의 먹이감으로 부상한 지 오래라는 업계의 분석에도 불구하고, 정작 시는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애꿎은 피해자를 양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
4일 수원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4년부터 사업비 2천300억원을 투입해 수원 입북동 484 일원 25만7천여㎡ 부지 내 R&D, 연구교육, 의료, 도시지원시설 등을 구축하는 ‘수원 R&D Science Park’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19년 마무리될 예정인 ‘수원 R&D Science Park’ 조성 사업은 이달 현재 기존 개발제한구역인 이 부지 중 34만7천420 ㎡ 면적을 도시관리계획으로 변경, 국토교통부에 신청한 상태로 앞으로 토지보상 착수 및 실시계획 인가, R&D단지 조성공사 착공 등을 남겨놓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처럼 수원 입북동 일대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되면서 최근 사업대상지 주변(개발제한구역)으로 서울 등 외지인들의 ‘기획부동산’이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이 일대는 현재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과 절대농지 등으로 토지 취득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 개발행위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농지법 관련 일부 규정을 교묘히 악용해 ‘1필지 공동소유’ 등을 내세운 ‘지분 쪼개기’로 영업에 혈안이 된 것으로 나타나 자칫 애꿎은 피해자를 양산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민 이모(46)씨는 “얼마전 친척이 기획부동산에 속아 8XX 번지 일원 농지의 지분 일부의 계약금 수천만원을 지불했다가 뒤늦게 속은 걸 알고 백방으로 쫓아다녀 겨우 돈을 돌려 받았다”며 “시장 땅도 있다며 마치 개발할 수 있고, 땅값이 오를 것처럼 떠벌리는 일이 비일비재한데 이미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입북동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제주도 등에 이어 서울 등의 외지인들이 입북동 일대 땅을 악용해 기획부동산을 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기는 했지만 대부분 아무도 모르게 은밀히 작업해 잘 모르겠다”며 “만약 사실이라면 긴급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올해부터 소유권 이전 등 거래가 이뤄지는 필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사업부지 일대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선의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