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16년 경기교육 기본계획 설명회’를 열고 ‘학교 민주주의’를 내년 정책 화두로 제시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9시 등교’와 ‘꿈의 학교’에 이은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학교 구성원들의 자율과 자치를 통한 학교 운영을 전면화한 것이어서 향후 타 시도로의 전파도 주목된다.
경기도교육청은 8일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전문직 장학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6 경기교육 기본계획 설명회’를 열고, ▲행복한 학교 ▲학교 민주주의 ▲안전한 학교 ▲혁신교육 확산 ▲교육행정 혁신 등 다섯 가지를 내년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도교육청은 ‘학교 구성원이 공동 주인으로서 자율과 자치를 통해 현안 논의와 실천방법 구체화, 결과에 공동책임을 지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학교 민주주의를 전면화했다.
이같은 방침은 2010년 학생인권조례 제정에서 시작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4·16 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면서 구체화됐다.
특히 ‘수능무용론’ 등으로 촉발된 경쟁과 입시중심의 교육체제에서 벗어나 민주시민교육을 학교현장에서부터 실현하겠다는 의지라는 평가다.
이를 위해 학교 민주주의 제도 개혁과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등이 본격화되고, 학교 민주주의 지표를 개발해 단위 학교별 지수를 산출한다.
또 이달말 ‘학교 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교육공동체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위 10% 해당 학교에 종합감사를 벌일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안에 대해 학교 구성원들이 공동 주인의식을 갖고, 자치와 자율을 바탕으로 실행전략을 세워 실행하고, 결과에 공동 책임을 지며 민주적 삶을 실천하는 생활환경을 만들어 가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