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시가총액 4천조 돌파… 10년만에 최고

2018.06.24 19:50:50 5면

작년 4022조 4695억원 기록
물량보다 가격상승 영향
실수요자 중심 부동산 정책 문제

국내 주택 시가총액이 지난해 4천조원을 넘었다. 10년 만에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주택 시가총액은 4천22조4천695억 원을 기록했다.

주택 시가총액이 4천조 원을 돌파하기는 지난해가 처음이다.

물가가 오르니 주택 시가총액이 늘어나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볼 수 있지만 문제는 너무 빠른 속도다.

지난해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은 전년 대비 7.6%로, 2007년(13.6%) 이후 최고였다.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은 지난 2002∼2007년 연 평균 두 자릿수를 기록하다가 금융위기가 터지자 2008년 6.0%, 2009년 5.8%로 둔화했다.

부동산 경기가 꺾인 지난 2012∼2013년에는 3%대까지 줄었다.

그러다가 정부가 지난 2014년 8월 경기 부양을 위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규제를 완화하고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대로 떨어지자 상황이 바뀌었다.

저금리로 풍부해진 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흘러들며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주택 공급량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은 지난 2014년 5.2%로 상승하더니 2015년 5.3%, 2016년 6.5%에 이어 지난해에는 7%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시가총액 증가에 물량 보다 가격 상승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 시가총액은 소득 보다 빠르게 늘었다.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1천722조4천928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1% 늘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주택 시가총액 증가 속도보다 2.5%포인트 낮았다.

격차는 2015년 0.1%포인트에서 지난 2016년 1.6%포인트에 이어 계속 벌어지는 모양새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이 소득보다 높아지면 결국 가계 등 경제주체들은 빚을 내 집을 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가계신용은 1천450조8천48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8.1% 늘었다.

2015년(10.9%), 2016년(11.6%)보다 증가세는 꺾였지만 예년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소득 대비 과도한 주택 가격 상승은 경제주체들의 심리나 사회 통합 측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부가 부동산 과열을 막고 실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정책을 펼쳐가려는 것도 이같은 문제의식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재정개혁특별위원회는 곧 부동산 보유세 개편 권고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출할 방침이다.

보유세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집값 상승세도 당분간 움츠러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주철기자 jc38@
이주철 기자 jc38@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