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때문에… 바나나·망고 등 국내과일 된다

2018.08.01 20:29:33 5면

경지면적 10.1%가 아열대 기후
2080년에 62.3%로 늘어나
이미 전북에서 애플망고 키워
농진청, 아열대작물 재배 유망

동남아 등지에서 수입하는 대표적인 아열대 과일인 망고나 바나나가 조만간 ‘국산’으로 출하될 전망이다.

1일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0년께가 되면 경지 면적의 10.1%가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이어 2060년 26.6%에서 2080년 62.3%로 늘어나 한반도 대부분이 사실상 아열대 기후권에 자리하게 된다. 이는 곧 국내에서 망고, 바나나, 용과 등 아열대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실제로 이미 남부 지방 일대에서 재배 중인 아열대 작물 면적은 2015년 362㏊에서 지난해 428.6㏊로 18%나 늘어났으며 2020년이면 1천㏊를 넘어설 전망이다.

통상 열대와 온대 사이(위도 25∼35도)에 있는 아열대 지역으로는 아라비아, 파키스탄, 칼라하리 사막, 오스트레일리아 내륙 사막, 중국의 화남 평야 등이 꼽힌다.

우리나라 제주 전역(산간 제외)과 남해안 일부도 여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온난화로 한반도 곳곳의 겨울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이 ‘아열대 선’이 점차 북상하고 있다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충남 당진에선 아프리카 북동부가 원산지인 아열대 채소 오크라를 재배해 시판 중이고, 제주는 물론 전북에서도 애플망고가 재배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 기존 농민이나 새로 농촌에 정착하는 귀농인 등이 아열대 작물들을 새 소득작물로 선택하는 경우가 왕왕 나온다.

기존 작물보다 가격이 비싸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아열대작물을 국내에서 재배하면 수확 후 4∼5일이면 식탁에 오를 수 있어 신선도가 뛰어나다”며 “외국산보다 맛과 품질이 우수해 차별화할 수 있다”고 ‘국산 아열대작물’의 경쟁력을 설명했다.

반면 수입산 아열대작물은 망고는 식물 검열을 위해 75도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한 후, 다시 냉동 저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국산보다 향기나 과육의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농진청은 이미 2008년부터 50종의 아열대작물을 연구해 오크라, 여주, 강황, 사탕무, 망고, 패션프루트, 용과, 올리브, 파파야 등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20종을 지난해 선발한 바 있다.

이와 맞물려 열풍기 등을 이용해 망고 재배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술, 묘목값을 절감하는 패션프루트 번식기술 등 재배기술도 개발해 보급 중이다.

/이주철기자 jc38@
이주철 기자 jc38@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