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상태 측정 '앱·웨어러블 기기' 정확도 부족해

2022.01.17 11:00:00 10면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준 교수
수면다원검사 - 앱·웨어러블 기기 비교 연구결과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준 교수가 수면다원검사와 앱·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검사결과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아주대병원 수면센터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환자 대상으로 9개의 스마트폰 앱 혹은 3가지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를 동시에 이용해 수면상태를 측정한 총 495례의 검사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얕은 수면, 깊은 수면 등의 수면단계 측정, 실제로 얼마나 잠을 잤는지에 대한 수면효율 등 앱을 이용한 검사와 수면다원검사 결과가 큰 차이를 보였다. 앱을 이용한 검사가 수면상태를 정확하게 평가·진단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

 

대부분의 앱이 대상자가 수면 중 뒤척이는 등의 움직임만을 측정해, 그 정도에 따라 수면단계나 수면효율을 측정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스마트폰 앱이나 웨어러블 기기는 내장 마이크를 이용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확인, 설문을 통한 수면 상태 예측, 활동기록기 이용 움직임 측정(각성상태), 심박동 측정 및 분석(내장된 알고리즘 이용) 등의 방식으로 수면상태를 파악한다.

 

코골이 시간은 약간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마트폰을 두는 위치에 따라 편차가 심하고 뒤척이는 소리와 같은 잡음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수면 무호흡은 시간은 소리가 없기 때문에 측정이 되지 않았다.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전체 수면시간, 입면 후 각성에서 실제 수면다원검사와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있었지만 그 정도가 크지 않았다.

 

수면다원검사는 병원을 방문해 몸에 센서를 붙이고 자면서 뇌파, 근전도, 호흡 기류, 호흡 노력, 수면 자세, 혈중 산소 포화도, 적외선 영상 등 여러 측정을 통해 수면상태를 측정한다.

 

김현준 교수는 “수면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 만큼, 수면장애로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정확한 검사를 통한 진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Sleep and breathing’ 온라인판에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이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수면 분석방법은 수면다원검사에 비해 아직 정확도 부족’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정경아 기자 kyunga1013@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