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식 칼럼] 지경학적 분열의 시대,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

2022.06.30 06:00:00 13면

 

 

최근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이후 IPEF(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재벌은 재벌대로 참여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한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위축된 세계 경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가정경제는 식량과 에너지 가격을 비롯한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신음하고 있고, 선진국의 긴축 재정정책은 부채비율이 높은 국가와 기업을 압박하고 있다. 스리랑카는 이미 디폴트 상태에 있고 몇몇 국가는 디폴트 직전이다. 과연 한국 경제는 이로부터 자유로운가? IPEF 참여는 작금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까? 아니면 상황을 악화시킬까?

 

우크라이나 전쟁이 초래한 또 다른 결과는 ‘지경학적 분열’ 현상이다. 세계는 러시아에 경제적 제재를 부과하는 진영과 러시아와의 경제 관계를 유지 또는 강화하는 진영으로 양분화되고 있다. 설상가상 IPEF의 출범은 지경학적 분열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IPEF가 러시아 진영에 속해 있는 중국의 고립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세계는 지난 30년간 ‘통합’의 힘으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경제 규모를 3배로 늘렸으며, 십 수억 명의 극빈층을 구제하였다. IMF 조사에 의하면, ‘지경학적 분열’ 현상은 우리 모두에게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개발도상국은 그간 누려온 수출 증대 및 기술 노하우 습득을 통한 부의 축적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선진국은 인플레이션 부담과 혁신 파트너 상실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분열’은 고소득 전문가, 중소득 제조업 종사자, 저소득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소득 계층에 피해를 준다. 특히 기술 부문의 ‘분열’은 관련 국가의 GDP를 5% 감소시킬 것이라고 한다. 여하튼 공급 사슬을 새롭게 재구축하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과 투자장벽으로 인한 비효율로 인하여 통합 이전의 ‘결핍’의 시대로 돌아가는 것은 시간문제인 것 같다.

 

지경학적 분열은 기업 경영을 심각하게 제약한다. 최근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의 주가가 급락한 이유는 미국의 금리 인상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지경학적 분열이 가져올 시장의 축소와 그로 인한 매출 및 이익 감소 우려 또한 중요한 요인일 수도 있다. 기업 경영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생존과 지속 가능 경영이다. 기업 경영자는 ‘탈통합’에 선제적으로 앞장설 필요는 없다. 기존의 글로벌 ‘통합’의 이익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서서히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긴 호흡 경영 전략이 필요하다. 정부도 수출 및 수입의 다변화 정책을 통하여 공급 사슬 재구축의 소프트랜딩에 역량을 집중하여야 한다. 강대국들의 말이 아니라 행동에 맞추어 대응하여도 늦지 않다.

 

임종식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