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폐쇄보다 유지·활성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천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지난 4일 영종국제도시 개발 및 교통문제 해소를 위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활용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침체기에 있는 영종국제도시 개발의 현주소를 되돌아보고 부족한 교통인프라, 특히 자기부상철도의 문제점과 향후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에서는 시와 관련 기관들의 문제만이 아닌 국가적 나아가 국제적인 문제라는 의견이 모아졌다. 또 자기부상열차를 폐쇄 보다는 유지하고 활성화하자는 의견이 모아졌다.
다만 법적인 측면, 즉 자기부상열차를 전담하는 책임을 시나 관련 기관 중 누가 질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갈렸다.
발제와 좌장을 맡은 구본환 한국교통대학겸임교수(전 인천공항공사 사장)는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은 철도산업발전 기본법을 통해 연구개발을 체계적으로 해 나가야 한다”며 “특히 시범 사업을 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넣어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중호 전 인천교통공사 사장은 “인천공항공사가 하려고 하는 마음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면 안 된다”며 “그래서 사실상 자기부상철도 과제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관철시킬 수 있도록 누군가는 해줘야 되는데 시의회가 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또 유제남 ㈜유신 부사장은 “만약에 도시철도법으로 하고자 하는 뜻이 있다면 오로지 정치적인 역량에 의해서 할 수 있다”며 “정치적인 역량이 아니고 사업 자체에 대한 우리 내부적인 어떤 수익 분석을 통해서 간다 그러면 궤도 운송법으로 쉽게 갈 수 있다”고 전했다.
박정환 인천일보 선임기자는 “경제성보다는 교통법칙 차원에서도 한번 바라보자”라며 “교통복지 차원에서 수요가 있으니 정책적으로 개발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장철배 시 철도과장은 “토론회를 통해서 시민들의 여러 의견들을 모아 국가 정책으로도 어젠다를 가져가서 진행을 하는 방향으로 검토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공항 경제권 개발의 필요성과 문제점 ▲글로벌 거점으로서의 인천공항의 역할과 발전 방향 ▲역세권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과 재원 분담 방안 등에 대해서도 토론이 이어졌다.
또 질의에 다수의 청중들이 참여해 토론의 격을 높였다.
한 청중은 “650억 원의 국민 세금이 투입된 자기부상철도가 흉물로 남아 있다”며 “실무자와 책임자, 결제권자를 소급해서라도 구상권을 청구하든 뭔가 가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지난 2016년 2월에 개통해 2022년 7월 차량 중정비로 운행 중단됐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기준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