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의 ‘주인 없는 위험간판 정비사업’이 주먹구구식이다.
구는 지난 2018년부터 강풍, 집중호우 등 풍수해 위험에 취약한 주인 없는 간판이나 폐업, 이전으로 관리자 없이 방치돼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간판 등을 정비하고 있다.
관계기관·건물주의 민원, 구 자체 조사반(담당 공무원 및 기간제 근로자)의 현지 실사 등을 통해 대상을 선정한다는 구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구는 정비사업 대상 간판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하지 못해 매년 들쭉날쭉한 예산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990만 원으로 50개 간판을 정비했다.
2023년 58개(2370만 원), 2022년 54개(1660만 원), 2021년 36개(940만 원), 2020년 64개(1790만 원), 2018년 10개(407만 원)를 정비했다.
2019년에는 다른 사업에 포함돼 별도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도시미관 측면 뿐 아니라 강풍으로 인해 간판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체계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그러나 구는 그때그때 ‘땜질’ 식으로 정비를 할 뿐이다.
구 관계자는 “정확하게 정리된 리스트는 없다”며 “5월에서 9월까지 민원 접수나 현지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인 없는 위험간판이 추락해 인명 피해가 발생할 경우 구는 책임이 없다”며 “1차 책임은 업주였던 사람, 2차는 건물주에게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기준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