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북한의 핵 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실시한 조사 결과, 모든 수치가 ‘정상’으로 나타났다.
8일 시는 산하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북한 핵 폐수와 관련한 시료 채취 분석 결과를 보고 받고 방사성물질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했다.
유정복 시장은 “모든 수치가 정상 범위로 나타났으며, 시민들이 우려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적관리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앞서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핵 폐수가 무단 방류됐다는 정황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이에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국 244곳의 감시망 측정 결과가 정상 준위임을 발표했다.
하지만 발표 이후에도 국민들의 불안이 해소되지 않자, 원자력·해양 당국은 지난 4일 특별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 결과는 약 2주간의 분석을 거쳐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유 시장은 사안이 불거진 직후 즉각 조사를 지시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하루 앞선 지난 3일부터 ▲주문도 서남방 해역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북쪽 해역 등에서 바닷물을 채수했다.
이 같이 시는 긴급 수질 조사에 착수하면서 중앙정부보다 더 빠르게 사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유 시장은 해양수산부와 원안위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서해 환경 모니터링 특별팀'을 조속히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 해역 인근에 이동형 방사선 감시 장비를 추가 배치하는 등 중앙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 사안이 파주와 김포와도 관련된 만큼, 경기도가 공동 조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유 시장은 “그동안 북한이 보여 온 행태와 정보 비대칭성이 시민의 안전에 위협 요소가 되고 있다”며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 대해 남북 공동조사 또는 국제기구와의 공동조사 수용을 북한에 강력하게 촉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민이 안심할 때까지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외부 요인을 철저히 차단하고, 시민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