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이동욱 교수 “출생 세대 따라 고령층 건강·노동 능력 달라져”

2025.07.23 14:24:22 14면

국제 공동연구서 세대별 건강수준·노동 제한 격차 확인
“한국, 고령층 건강 개선 속도 가장 빨라, 고령친화 일자리 필요”

 

같은 60세라도 태어난 세대에 따라 건강 상태와 일할 수 있는 능력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대별로 건강 수준이 달라지는 만큼 이를 반영한 고령층 고용·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최근 출생 세대일수록 건강 문제로 인한 ‘노동 제한(health-related work limitations)’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노동 제한은 건강 문제로 일상적인 직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 연구는 한국과 미국, 영국, 멕시코, 유럽 등 주요 국가의 고령자 패널 데이터를 통합해 1994년부터 2021년까지 만 50~80세 성인 14만 9814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Age–Period–Cohort(APC) 분석 기법으로 나이, 조사 시기, 출생 세대의 영향을 각각 분리해 비교했다.

 

그 결과 같은 나이라도 최근에 태어난 세대일수록 건강 상태가 더 좋고, 직업 활동에 지장을 받을 가능성이 낮았다.

 

특히 한국은 모든 연령대에서 건강 문제로 일을 하지 못하는 비율이 가장 낮았고, 출생 세대 간 건강 격차 개선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단순한 고령화가 아니라 출생 세대에 따른 건강 수준 차이, 즉 ‘세대 효과(Cohort Effect)’가 고령층 노동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이 교수는 “같은 60세라도 1930년대생과 1960년대생은 건강 상태가 크게 다르다”며 “이 차이는 은퇴 연령과 고령자 일자리 정책에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령층이 일할 수 있도록 단순한 정년 연장이 아니라 고령친화적인 일자리 환경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Safety and Health at Work’ 2025년 7월호에 게재됐으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민중소 기자 ]

민중소 기자 jungso2001@daum.net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