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빛의 산란'을 활용한 광기술로 미생물의 활성과 성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항생제 효과의 빠른 진단 등이 가능해지면서 세균 감염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21일 아주대학교는 윤종희 물리학과 교수와 이창한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빛의 산란 특성을 활용해 정밀하고 빠른 항생제 효과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생제에 의한 세균 성장 억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항생제 디스크 확산법'은 직관적으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지만 24~48시간의 배양 시간이 필요해 빠른 처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아주대 연구팀은 빛의 산란 기반 항생제 효과 진단 기술 개발에 나섰다. 광학 디퓨저를 활용해 여러 스페클 조명을 만들고 수초 내 영상 촬영 만으로 미생물의 활성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항생제 효과에 의해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되는 영역을 정확히 측정하고 3시간 이내 항생제 효과를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윤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레이저 스페클 영상을 통해 미생물 배양 후 3시간 만에 항생제 효과를 진단할 수 있다"며 "세균에 감염된 환자들의 효과적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빛의 산란 특성은 미생물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과 항생제 효과 진단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그 응용 범위가 더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