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두차례 출석 요구에 불응한 한학자 통일교 총재에게 다시 소환을 통보했다.
10일 박상진 특별검사보는 브리핑을 통해 "한 총재의 변호인들이 건강상 사유로 불출석 사유를 제출했다. 이에 세 번째 소환을 통보했다"며 "다음 소환 조사 예정 일시는 15일 오전 10시"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다른 공적 인물과 마찬가지로 한 총재를 공개 소환한다는 방침이다. 한 총재가 출석 요구에 응하면 여느 주요 피의자와 마찬가지로 취재진 포토라인 앞에 서게 된다.
특검팀은 지난 8일과 11일 두차례 출석일을 지정해 통보했으나 한 총재는 4일 심장 관련 시술을 받은 뒤 산소포화도가 정상 범위를 밑도는 등 건강 문제가 해소되지 않았다며 불출석 사유서를 내고 모두 불응했다.
한 총재의 갑작스러운 심장 시술이 특검 소환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에 대해 통일교 측은 "한 총재는 평소 심장에 무리를 느껴 왔고, 시술을 계속 권유받아 왔다"며 "시술은 오래전부터 예정돼 있었다"고 해명했다.
세 번째 출석요구에도 불응할 경우 특검팀은 자진해 조사받을 의사가 없다 보고 체포영장을 청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 총제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구속기소)와 공모해 2022년 1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며 정치자금 1억 원을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같은 해 4∼7월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고가 목걸이와 샤넬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데 관여한 혐의도 있다.
특검팀은 지난 7월 18일 가평에 있는 한 총재 거처 '천원궁'과 서울 용산구 소재 한국본부 등 통일교 시설 10여 곳을 압수수색하고, 권 의원과 전 씨 등 주요 관계자를 차례로 소환해 조사했다.
이후 윤 씨와 김 여사를 기소하며 공소장에 한 총재와의 연관성을 적시했다. 윤 씨 공소장에는 윤 씨의 청탁과 금품 전달 행위 뒤에 한 총재의 승인이 있었다는 내용이, 김 여사 공소장에는 한 총재가 본인의 목표였던 '정교일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접근했다고 명시됐다.
한 총재와 통일교 측은 청탁과 금품 제공 행위가 윤씨 개인의 일탈일 뿐 교단 차원의 개입은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김건희 첫 재판 오는 24일 시작…역대 영부인 최초 구속기소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와 통일교 청탁 의혹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김건희 여사의 재판이 오는 24일 시작된다. 역대 영부인으로는 헌정 사상 최초로 구속기소된 사례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우인성 부장판사)는 김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사건 재판의 첫 공판기일을 24일 오후 2시 10분으로 정했다.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달 29일 김 여사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겼다.
김 여사는 2010년 10월∼2012년 12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에 가담해 8억 1000만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지난 대선 기간인 2021년 6월∼2022년 3월 윤 전 대통령과 공모해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로부터 합계 2억 7000만 원 상당의 여론조사 총 58회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혐의도 있다.
2022년 4∼7월 전 씨를 통해 통일교 교단 현안에 대한 청탁을 받고 통일교 측으로부터 각각 802만 원과 1271만 원 상당의 샤넬 가방, 6220만 원 상당의 그라프 목걸이 등 합계 8000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도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