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용철 강화군수가 취임 1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10월 16일 보궐선거를 통해 취임한 박 군수는 대규모 국책사업 추진으로 미래 비전을 세우고, 혁신 과제를 잇달아 가동하는 등 균형있는 발전을 일궈왔다는 평이다.
취임 직후 최우선 과제였던 북한 소음공격 문제에 발 빠르게 대응했다.
취임 보름 만인 11월 1일 군 전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해 대북 전단 살포를 전면 금지하고, 중앙정부에는 우리 측 대북방송의 선제 중단을 공식 요청하는 등 단호한 입장을 명확히 했다.
군정 운영체계의 정비도 속도감 있게 이뤄졌다.
박 군수는 취임과 동시에 비전 실현을 뒷밭침할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지역소멸 위기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인구증대담당관’을 신설하고, ‘일자리경제과’와 ‘관광과’를 분리하는 등 조직과 기능을 현안 중심으로 재배치했다.
주민과의 소통 기반을 넓힌 점도 안정에 큰 몫을 했다. 제1호 공약으로 100인이 참여하는 ‘군민통합위원회’를 출범시켜 민·관 협력의 틀을 마련했고, ‘찾아가는 이동군수실’을 상시 운영하며 생활 현장의 목소리도 직접 들었다.
군은 미래 100년을 위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며 지난 1년간 외연을 과감히 확장하기도 했다. 강화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이 대표적이다.
강화 남단 화도면·길상면 일대 6.32㎢ 규모에 블루·그린바이오, AI 기반 디지털 제조, 복합관광이 어우러진 미래형 사업단지를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대거 창출하고 지역 성장의 견인차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유치도 병행하고 있다.
고려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온전히 품은 새 관광 랜드마크를 조성해 전역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군은 국회 등에서 세 차례 토론회를 열어 공론화를 이어가고 있으며, 내년 초 문화체육관광부에 건립건의서를 공식 제출할 계획이다.
지역 발전의 필수 기반인 교통 인프라 확충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연말 착공 예정인 ‘강화~계양 고속도로’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에 개선 대책을 지속 건의하는 한편, 서울역 직행 M버스 신설을 추진 중이다.
노인복지 분야의 무게 중심을 ‘돌봄’에서 ‘참여’로 옮긴 것도 시대적 혁신 사업으로 꼽힌다. 단순 보호를 넘어 노년기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활기찬 일상을 지원하는 데 방점을 찍은 이유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인천 최초로 무상택시를 시행했으며,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대상을 기존 저소득층에서 중위소득 150% 이하로 확대해 일상 복귀를 도왔다.
또 노인복지관 별관을 총사업비 117억 원을 투입해 건립 중이며, 마을 단위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경로당을 111곳으로 확대해 여가·건강·체육활동 참여를 넓혔다.
박 군수는 “접경지역과 인구감소, 각종 규제라는 3중고에 혁신하지 않으면 지방소멸 위기를 피할 수 없다는 절박감으로 군정에 매진했다”며 “7만 군민의 통합된 힘과 우리 공직자의 헌신으로 이제 강화 발전의 밑그림이 완성됐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