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글로벌 AI 인프라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피지컬AI와 디지털트윈 등 차세대 기술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등 신성장 분야에서도 협력 확대가 기대된다.
31일 LG전자는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생태계에 합류해 로보틱스 기술과 피지컬AI 모델 개발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엔비디아의 범용 휴머노이드 추론모델 ‘아이작 GR00T’를 기반으로 자체 피지컬AI 모델을 개발 중이며, 학습용 데이터 생성과 시뮬레이션에도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개발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양사는 고품질 데이터 확보와 학습 다양성 확대가 피지컬AI 구현의 핵심이라는 데 공감하고, 학습 데이터 생성과 강화학습 기반 로봇 학습 모델의 연구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가 가정, 상업, 산업 공간에서 축적해온 데이터를 학습 자원으로 활용해 피지컬AI의 고도화를 추진한다.
LG전자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서도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60여 년간의 제조 데이터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엔비디아의 산업용 AI 기반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적용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최신 RTX PRO 6000 Blackwell GPU를 활용해 공장·설비 단위의 초정밀 가상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생산 효율과 예지정비 역량을 높이고 있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분야에서도 협력이 이어진다. LG전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발열을 관리하는 CDU(냉각수분배장치)의 엔비디아 인증을 추진 중이며, 냉각솔루션과 직류(DC) 전력 시스템, 열회수 기술을 결합해 에너지 절감형 데이터센터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유우진 LG전자 CSO부문 오픈이노베이션 태스크 상무는 “AI 선도기업인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미래기술 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LG그룹 AI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도 엔비디아와 협력해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국내 기업과 스타트업, 학계에 지원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