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가 새 정부 국정과제와 발맞춰 AI(인공지능)·민생경제·통합돌봄을 핵심 축으로 한 연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급변하는 행정 환경 속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민 생활 전반의 변화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20일, 지난 8월부터 가동한 국정과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 가운데 화성시와 직접 관련된 정책을 중심으로 83개 연계 사업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 중 60개 사업은 2026년도 본예산에 반영됐으며 규모는 총 2,088억 원에 달한다. 예산이 필요 없는 12개 사업은 제도 개선이나 부서 협업을 통해 병행 추진하고, 7개 사업은 내년도 추경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나머지 4개 사업은 정부 건의를 통해 국책사업화에 나선다.
시는 AI 분야를 미래 전략의 중심에 놓았다.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 도시 구축’, ‘AI 혁신학교’ 등이 대표 사업이다.
화성자율주행리빙랩센터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 실증을 확대하고, 공직자·시민 대상 AI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 지역의 AI 역량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통해 “화성을 대표적인 K-AI 시티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민생경제 분야에서는 지역경제 활력 회복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추진된다.
시는 ‘희망화성 지역화폐’ 1조 원 발행을 목표로 골목상권 중심의 소비 기반을 강화하고, 수출 중소기업 물류비 지원을 확대해 지역 기업의 해외 경쟁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 지역의 경제 체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조치다.
돌봄 분야에서는 기존 노인·장애인 중심 돌봄 체계를 넘어 생애주기 전반을 포괄하는 ‘화성시 바로이웃 통합돌봄’ 사업이 핵심이다.
시는 생활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 누구나 공공 돌봄 체계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재편할 계획이다.
또 화성 지역 특성을 반영해 도시형과 농촌형 자살예방센터 2곳을 따로 운영한다.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 ‘전국 모델’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다.
시는 이번에 마련한 국정과제 연계 사업을 바탕으로 중앙부처 공모사업에 선제 대응하고, 국비·도비 확보에도 전략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AI, 민생경제, 통합돌봄을 핵심으로 한 사업 발굴을 넘어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완성하겠다”며 “시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더 나은 화성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