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아침논단] 쏟아지는 혁신 교육정책

새 정권 출범할때 마다 발표
진보적 변화 추구 앞서 재고를

 

어느 사회에서나 변화는 필요하다. 지난 5년동안 우리는 구시대적 가치관에 대하여 공적 영역이나 사적 영역 모두에서 혁신이 필요함에 동의했다. 혁신적인 부동산정책, 혁신적인 교육정책, 혁신적인 정무행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보적인 변화가 추진되어 왔다.

이 같은 변화의 거센 물결은 지금까지 제 자리에서 지지부진하던 모든 것들을 낡고 쓸모없는 것으로 몰아갔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새로운 정부의 시작을 앞두고 또 다시 몰아치고 있다.

현재 인수위원회에서는 지난 5년 동안과는 조금이라도 더 다른 목소리를 낼수록 참신한 것으로 각광받고 있다.

문제는, 과연 이 같은 변화라는 것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진정으로 다른가 하는 점이다. 더욱이 다른 것이 꼭 옳은 것인가 하는 점도 깊이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이슈이다.

노무현 정부의, 변화를 향한 강력한 시도의 중심에는 수능등급제가 있었다. 예컨대 총점을 제시하는 경우 수험생을 서열화하는 문제가 있기에, 등급을 나누고 일정 등급 이상만 받으면 대학을 가도록 해주겠다는 좋은 취지가 토대가 되었다.

원론적으로 보자면 이 같은 정책은 사실 매우 이상적인 제도이다. 대학은 다양한 소질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할 수 있으며 또한 획일화된 기준만으로 학생선발이 좌우되지도 않는다.

그러나 가장 이상적인 제도를 표방하며 구축된 2008학년도 대학 신입생 선발절차는 ‘대혼란’이었다.

이 같은 대혼란이 왜 발생하였는지를 곰곰히 생각해보면, 다름 아닌 제도의 대상자였던 국민들의 입장을 철저히 무시했기 때문이다.

수험생과 학부형들은 교육의 전공자들이 아니다. 따라서 수능등급제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잘 알지 못한다. 더욱이 이들은 입시학원의 진학 지도자도 아니다.

컴퓨터를 아예 다룰 줄 조차 모르는 학부형으로부터 원서대금을 인터넷으로 결제하도록 유도한 것 등 혁신적인 대학 신입생 선발절차는 수험생과 학부형에게 그야말로 고통, 그 자체였다.

인수위에서는 교육영역에서의 혁신으로서 영어몰입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영어를 영어로 배우는 것’이 바로 이 정책의 핵심인 바, 사실 원론적으로 보자면 왜 지금까지 이러지 못했는지가 의아할 따름이다.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한 일을 왜 이제야 하게 되었는지 궁금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해방 이후 지금까지 그렇게 많은 노력을 들여 영어교육을 실시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문제가 왜 해결되지 못하였는지도 궁금하다. 이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틀림없이 존재할 것이다. 허나 그 누구도 이 문제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해내지는 못하는 듯하다. 우리는 왜 십 수 년간 영어교육을 받고서도 영어를 못하는가?

그것이 다만 테솔(Tesol)을 이수한 선생님들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인가?

그렇다고 하여 미국에 수년간 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은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는가?

단지 언어학적으로만 보더라도 이 문제는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 같다.

그나마 희망스러운 부분은 지금까지 철옹성이었던 공교육 현장에 전문성이 있는 민간인들을 고용하겠다는 점이다.

단기간의 테솔(Tesol) 교육으로 영어몰입교육을 만족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길러내기는 불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취업난 시대에 실력 있는 민간인들이 다양한 공적 영역에서 종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따라서 인수위원회의 영어몰입교육의 구체적 방안이 현실성 있다기보다는 기존의 배타적이었던 공적 영역에도 경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나름 순기능은 존재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물에서 숭늉 찾는 듯한 느낌은 지울 수가 없어 한편으로 씁쓸한 생각마저 든다.

이수정 <경기대 교수>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