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시론] 입학사정관제도 허실과 성공의 관건

 

2011학년도 대입전형 계획을 보면 내년에 118개 대학이 3만7628명을 입학사정관제로 뽑는다. 올해보다 선발인원이 53%나 늘어나는 것이다.

제도가 본격 시행된 지 불과 2년 만에 입학사정관제 선발인원이 신입생 열 명 중 한 명꼴(9.9%)에 이른 셈이다. 학생의 성적뿐 아니라 잠재력과 자질을 평가해 뽑는다는 점에서 입학사정관제는 바람직한 제도다. 그러나 제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제대로 시행될지에 대한 검증이 덜 된 상태에서 그리고 기반 환경구축이 덜 된 상황에서 무턱대고 확대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일부 대학은 잠재력 있는 인재를 뽑는 입학사정관제도를 내신등급 상위권자나 특목고 학생을 뽑는 편법으로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

모든 성적이 기재된 성적표가 놓여 있는 상태에서 순수하게 영어만 잘하는 학생을 뽑을 수 있는지 오히려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전 교과를 잘하는 학생을 선발하게 될 여지도 있다.

대폭 확대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가 잘 알려지지 않은 데다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아 고액 컨설팅 등 또 다른 사교육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 입시학원이 늘고 대학의 입학사정관이 학원으로 유입되는 상황에서 외고 입시에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는 것은 또 다른 파행을 낳을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은 공정성에 대한 신뢰 확보가 관건이다. 대학이 무작정 선발인원을 늘리기보다는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부터 다지는 게 올바른 수순이다. 그러려면 강도 높은 평가가 전제돼야 한다.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 인력이 부족하거나 자질이 형편없지는 않은지, 신입생 선발 절차에 공정성을 해치는 허점은 없는지,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는 아닌지 꼼꼼하게 따져 물어야 한다.

무엇보다 입학사정관제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성적외의 전형자료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교육에서도 대학진학을 위한 지나친 점수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운영과 대학 신입생에 대한 사후관리를 통해 고교와 대학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고교·대학 간의 학습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기존 입시가 학교공부와 수능에만 충실해도 합격이 가능했다면, 앞으로의 입시는 최근의 취업시험처럼 자기만의 무언가를 알아서 준비해야 성공할 수 있는 환경과 지원이 이루어져한다. 이전 세대는 한 줄로 세워진 점수에 맞춰 학과를 고르고 또 그 전공 내에서 진로를 고민했지만, 입학사정관제는 고등학생 때 자신의 진로를 고민하고 이에 따라 직업과 전공을 선택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고등학교와 대학이 이러한 선택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계와 지원이 필요하다. 입학사정관제 도입 후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도 이와 비슷하게 변해가고 있다.

막연히 우수한 인재가 아니라 각 대학의 이념에 맞는, ‘이런 점에서 이렇게’ 우수한 인재를 찾는다고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입학사정관은 도덕성, 정직성을 바탕으로 학교생활기록부를 정확히 읽을 줄 알며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다. 또한 전형자료를 유형화하고 분석, 평가가 가능한 사람으로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해서 그를 추적, 평가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초중고교의 교과와 학습평가가 대학의 입학사정관제도와 연계될 수 있는 입학사정관제 네트워크의 구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입학사정관제가 원하는 것은 잠재력을 ‘가진’ 학생이지 잠재력을 ‘찾을’ 학생이 아니다. 입시생의 경우, 대학에 입학한 후 대학에서 잠재력을 키우려 하지 말고, 지금 당장 자신의 잠재력이 발휘될 ‘방향’을 찾아야 한다. 고등학교와 대학당국도 이러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학습환경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입학사정관제는 시간이 이끄는 대로 휩쓸려 어딘가에 놓이게 되기보다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이끌어 원하는 곳에 도달하는, 주도적인 사회생활의 예행연습이 되어야 한다.

선발한 후에는 대학이 학생들의 잠재력을 실력으로 키워주는 사후관리에 집중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