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거어지탄(車魚之歎). ‘사람의 욕심에는 한이 없다’는 표현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고사다. 중국 전국시대 제(齊)나라에 맹상군(孟嘗君)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현명하고 학식이 깊어 그의 집에는 문하생이 되려는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들었다. 식객도 수 천명이나 됐다. 이런 식객 중에 풍훤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늘 빈둥거리며 지냈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자신을 대접해 주지 않는다고 투덜거렸고, 주위 사람들은 그를 피해 다녔다. 그러나 맹상군은 그를 아꼈다. 어느 날 풍훤은 생선이 없다고 불평했고 며칠 후에는 자신이 타고 다닐 수레가 없다고 탄식했다. 맹상군은 곧바로 그를 위해 생선과 수레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에도 그는 많은 불평을 했지만 맹상군은 그가 원하는 모든 것들을 다 들어주었고 이에 감복한 풍훤은 훗날 맹상군을 위해 큰 공을 세웠다. 거어지탄은 여기서 비롯된 고사다.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말 타면 종 거느리고 싶어 한다’는 말도 어려움을 겪고 편안함을 얻고 나면 더 편안해지고 싶어 하는 사람의 욕심을 비유한 속담이다.

‘욕심’을 불교용어로 욕(欲)이라 한다. 욕(欲)은 탐욕(貪欲)의 줄임말로서, 탐(貪)의 다른 말이기도 하다. 해서 바른 노력 없이 쉽게 얻으려는 욕구, 즉 탐(貪)의 마음작용이 욕심이며 바라고, 구하고, 하고자 할 때 동반되는 것이어서 지나치면 반드시 화(禍)를 부른다고 했다.

불교에서는 이런 욕심을 악욕(惡欲)이라 한다. 사실 욕심에는 악한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선한 욕심도 있다. 이런 욕심을 선욕(善欲)이라 한다. 이는 자신과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기도 한다. 하지만 욕심은 반대인 경우가 더 많다. 해서 ‘사악한’ ‘나쁜’ ‘그릇된’ 등등의 못된 표현도 동반된다. 그 속에는 돈 등 타인의 재물공적, 명예 또는 지식을 빼앗거나 가로채 도용함으로써 자기 것으로 만들려는 욕구가 숨어있어 더욱 그렇다.

지금 세상에는 욕심이 가득하다. 또 최고 권력자부터 정치권에 속한 여·야 모두 욕심은 욕심대로, 질투는 질투대로 다하면서 좋은 결과를 바라고 있다. 국민들을 볼모로 말이다. 민생이 요즘 어떤데. /정준성 주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