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창룡문]촛불 그리고 노래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 돌보는 사람도 하나 없는데. 비바람 맞고 눈보라 쳐도…”로 시작되는 ‘상록수’는 1998년 정부 수립 50주년 기념 TV캠페인 주제곡이다. US 오픈 골프대회에서 박세리가 물에 들어가 양말 벗고 공 쳐내는 장면과 함께 방송돼 더욱 유명해 졌다. 그리고 2002년 3·1절 기념식 축가로 선정돼 국민가요가 됐다.

하지만 상록수가 처음부터 그런 것은 아니다. 작곡가 김민기가 대학을 그만두고 부평의 봉제공장에 다니던 시절 늦게 결혼식을 올리는 동료들을 위해 만들었다는 노래답게 힘든 현실을 극복하자는 의도의 노래 였다. 하지만 서슬 퍼런 유신정권 하에서 젊은층의 의식화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금지곡이 됐고, 1987년에야 해금돼 다시 태어난 노래였기 때문이다.

좋은 노래는 시대를 뛰어넘는다. 또 시대와 사회상을 드러낸다. 거기에 외로움과 간절한 희망을 섞어 쓴 글이 가미 된다면 그 노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자리 잡게 된다. 그리고 어렵고 힘들 때마다 꺼내 부른다.

어느 세대에게나 유독 동질감과 유대감을 느끼고 불현듯 마음을 틀 수 있는 그들만의 노래가 있다. 40~50대에게는 익숙한 상록수를 비롯 ‘아침이슬’ ‘친구’ ‘작은 연못’ ‘백구’ ‘늙은 군인의 노래’ 등 소위 ‘저항가요’라 부르는 것들이 특히 그렇다.

이런 노래들은 어느 날 갑자기 금지곡 딱지가 붙는 공통점도 있다. 집권자의 입맛에 맞게 공안 당국이 특별한 사유도 없이 금지곡으로 묶어서다. 또 모두가 1987년 6·10 민주항쟁으로 해금되는 기쁨을 맛보았고 국민가요로 당당히 자리매김 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열린 일곱 차례의 촛불집회에서도 소위 ‘시국 가요’라는 노래들이 어김없이 등장 했다. 지난 주말 7차 촛불 집회에서도 그랬다. 탄핵이 결정된 이후에도 시민들의 타는 목마름을 대변하듯 박근혜 대통령과 현 시국을 비판하는 속칭 ‘사이다(속 시원하다는 뜻) 곡’들이 이어진 것이다. 어려울 때 일수록 국민들은 이런 노래들을 왜 부르고 또 부를까. 외로움과 간절한 희망을 섞어 쓴 글이나 노래는 좌절과 슬픔을 씻어내는 놀라운 힘을 지녀서는 아닐까./정준성 주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