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사설]가축질병 방역시스템 과연 있기나 한 건가?

구제역 등 가축 방역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 전국적으로 창궐한 AI의 공포를 경험한 우리는 그동안 본 란을 통해 가축질병방역시스템을 최대한 가동해 구제역 등에 대비할 것을 여러차례 경고했다. 그러나 지난 8일 구제역 의심 신고가 들어온 연천의 젖소 사육농장이 혈청형 ‘A형’ 구제역으로 확인돼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에 이어 경기도로 구제역이 확산된 것이다. 구제역 혈청형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의 구제역이 동시에 발생한 사례는 처음으로 방역 비상상황이 생긴 것이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AI 발생과 확산 이후 정부가 보여준 한심한 대처능력 때문이다. 그래서 지난 2010년에 발생한 구제역의 악몽과 같은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 구제역 병원체의 잠복기간은 6~11일이다. 그래서 현재로선 어디까지, 얼마나 확산됐을지 발생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전국에서 얼마나 많은 소·돼지가 살처분될까 두렵다. 지금 우리 축산농업은 위기다. 부정청탁금지법 등으로 외국산 축산물을 선호하는 분위기에 편승, 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 최근의 정국상황도 그러하지만 범국가적으로 비상(非常)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은 무엇보다 가축질병 방역시스템의 가동이 문제다. 지난 2010년에 발생한 포천 구제역의 경우도 그렇다. 81일에 걸친 방역작업 끝에 정부가 구제역 종식을 선언했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16일 만에 강화에서 또다시 발생했던 기억이 있다. 강화지역 살처분을 완료했다고 발표한 이튿날에는 김포에서, 김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온 이튿날엔 충주에서 발생했다. 바다만 믿고 수수방관(袖手傍觀)하던 방역당국의 허(虛)를 찌른 셈이다. 당시 당국은 감염경로를 밝혀내지도, 확산 방향을 예측하지도 못 했다. 도대체 역학(疫學)조사를 하기는 하는지, 방역시스템은 작동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지금 축산농가는 비탄과 공포에 빠져 있다. 자식처럼 귀한 가축이 파묻히는 모습을 바라봐야 하는 농민들의 심정이야 어떻겠는가. 실의에 빠진 농민들을 위한 대책마련도 시급하지만 G20 국가가 만성 구제역 후진국으로 낙인찍히는 현실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아직 ‘물백신’ 논란에 항체 형성률이 20%도 안 된다는 등의 문제로 농가와 당국이 책임을 놓고 입씨름한다는 것 자체가 한심스럽다. 어찌됐든 이는 당국의 구제역 관리에 허점이 있었다는 얘기다. 이번 기회에 기본적인 가축방역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경주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