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청소년에 보내는 편지

살아있다는 것은 가지고 있던 색깔이나 특징 따위가 그대로 있거나 뚜렷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고유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정체성대로 살아가는 것을 살아있다고 말한다. 살아있음은 정체성대로 살아내기 위해 삶을 책임진다.

모든 살아있는 것들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평생 뭔가를 배운다. 살아있다는 것은 외부와의 교류를 통해 뭔가를 끊임없이 학습하는 과정이다.?

호기심과 경의에 찬 눈빛이 그 존재의 살아있음을 보여준다. ‘사람’은 ‘살암’ 즉, 살아있는 것들 중에 으뜸을 의미한다.

나는 살아가고 있는 만물 중에 낯선 외부에 경이롭고, 호기심 많은 ‘사람’인 것이다. 그런 나는 살아있나? “살아있는 모든 존재들은 질문을 던져야 한다.”

질문이 없는 존재는 살아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어떠한 익숙함, 패턴, 굴레 속에서 질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공부(工夫)’다. 한자로 ‘지아비가 되는 노력’을 뜻한다. 어쩌면 공부는 삶을 책임지는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 아닐까.

자신만의 정체성대로 삶을 책임지며 몸부림으로 만들어나간다. 이러한 정의를 기준으로 본다면 현시대는 누구나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흔히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공부를 한다고 하지만 무엇이 잘 먹고 잘사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은 없다.

개념에 대한 정의를 모른 채 목표를 위해서 과정을 이끌어나가는 이들은 그 굴레 속에서 허우적거리게 된다.

오직 대학을 위해, 취업을 위해 공부를 한다. 대학, 토익, 취업 어쩌면 우리가 우리의 정체성을 이룰 수 있는 하나의 ‘수단’, ‘도구’, ‘방법’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젠가부터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목표(본질)가 아닌 방법에 집중하게 되었다.

우리는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장애물은 없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모든 요건들을 충족하려다가 자신을 잃어버린다.

나의 길을 가는 것이 장애물을 피하는 것보다 먼저다. 거침없이 내가 해석하고 창조적으로 삶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그러기에 현재에 끊임없이 질문하고 의심해야 한다.

질문을 하지 않게 되면 우리는 그대로 현실에 안주하게 된다. 이는 결국 ‘나’다운 삶을 거부하는 것이다.

공부는 사람과 함께하는 것만이 아닌 호수에서 노을에 부스러지는 빛들, 가을이면 떨어지는 낙엽들의 소리를 들을 때 발견할 수 있다.

자연의 모든 것들이 살아 숨쉬고, 자신의 기능과 특성을 하듯이 모두가 살아 움직이는 ‘사람’들이 되자.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