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숨n쉼]공립(公立)극장의 공간 활성화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공립극장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에는 지역의 집회시설인 공회당의 개념에서 출발해 이제는 공연, 예술교육, 전시를 포함해서 운영되는 복합아트센터로 변화되었다. 오늘날의 지역 공립극장은 예술생산자 예술가들과 소비자인 관객의 중간에서 다양한 문화 예술을 소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역의 문화거점으로서 문화 예술의 소비증진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평생교육기관으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공립극장은 지역민 누구에게도 열려있다는 공공성(公共性), 다시 말해 문화 예술 기관으로서의 ‘개방극장’(Open Public Theater)에 기반하고 있다.

대규모 문화공간의 건립과 공급의 필요성을 느끼고 국가가 나서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이다. 그리고 문화예술이 국가 및 지역의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행정에서 정착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그리고 지방자치시대의 경쟁력 우위 확보도 지역의 문화 콘텐츠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공립극장에서 교육된 전문직이 자리하면서 근래에 들어와 점차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문화시설의 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방자치정부의 치적 성과에 대한 각 지역 상호간의 경쟁도 자리한다. 그러나 지역의 공립극장 설립 문제점에 있어서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 문화 예술 소비들이 지역에서는 그 속도가 늦기 때문에 지역의 문화 예술의 소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운영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그 운영에 있어 콘텐츠의 주목성, 가격정책, 마케팅 역량의 강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공성을 갖춘 지역 기반의 공립극장은 제 역할과 기능을 하지 못한다.

지역 공립극장에는 많은 공간들이 있다. 우리나라의 공립극장은 복합시설 형태로 지어진다. 보통 공연, 전시, 예술교육의 분야로 건축 공간이 구분되어 설계된다. 이는 미국 아트센터의 운영방식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사실 공립극장의 운영 분야를 복합장르로 정해서 경영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인력과 재원이 많이 필요하고 지역 문화 예술 콘텐츠의 창의시설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합리적 운영, 공공성, 경영성과를 거둔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아이디어 부재 등으로 인해 공간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그러나 공간을 활용해 지역민들이 부담 없이 모여 만날 수 있는 커뮤니티 살롱의 역할을 하는 문화예술 활동의 커뮤니티 공간이 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다시 말해서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민들에게 다양한 아이템을 갖춘 공간 콘텐츠를 통해 신나는 문화예술의 체험을 제공하고, 또 접근 용이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공간의 거리감을 없애는 경우 지역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리고 공간의 특성에 따라 성격을 부여해 지역민들의 수요를 창출하여, 지역민, 행정, 지역의회 등 공공성과 연계된 이해관계자들이 호감을 얻어내는 경우가 많다. 바로 공립극장의 공간 콘텐츠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발신하는 것이 그 답안이었다.

따라서 지역의 공립극장은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주변 공간을 적극 활용한 개방형 프로그램의 운영의 확충, 프로그램의 참신성과 주목성을 통해 지역의 자부심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공공극장에는 찾아갈 수 없지만 다양한 노출을 통해 지역민들이 공립극장의 존재감을 공유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공립극장의 공간을 활용해서 개방성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극장이 통제시설로 인식되면 지역민들과 거리감은 계속 벌어지게 된다. 그래서 지역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를 활성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찾아가는 공연활동’도 지역의 공립극장이 해야 할 역할이다, 이제는 찾아오는 관객만 바라보아서는 안 되는 극장경영의 시대에 있는 것이다. 늘 생활 문화 속에서 함께 하는 창의시설로서의 친근감, 일상생활과 밀착된 문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