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관료들의 외유성 해외연수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또다시 중·고등학교장들의 국외여행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행 경비를 학교예산으로 충당, 혈세 낭비 비난이 일고 있다.
4일 전교조 경기지부에 따르면 국정감사를 앞두고 도교육청이 정봉주 의원에게 제출한 ‘학교장 국외여행 내역’에 지난 2004~2006년 3년간 도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장들이 자매학교 방문, 교육시설 시찰 등의 명목으로 모두 427차례 해외여행을 했다며 이를 위해 학교예산 수억원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또 전교조는 “교장들의 전체 해외여행 가운데 100여건은 선진지 견학, 임의단체 해외여행 등 개인 여행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경기지부가 입수,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중·고교 교장들은 2004년 120차례, 2005년 132차례, 지난해 175차례 등 3년간 모두 427차례 해외여행을 했다.
표면상 목적은 자매결연학교 방문, 학생인솔 등이 가장 많았다. 전교조가 추산한 것에 따르면 교장들의 해외 여행에 투입된 학교예산만해도 2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교조는 또 전체 해외여행 가운데 학교예산 100여 차례는 7천92만3천원이 투입, 목적이 교장협의회와 청소년단체 등 임의단체의 해외여행, 선진지 견학 등으로 대부분 해외 유명 관광지를 돌아본 개인적인 여행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임의단체가 주최한 국외여행에 참여하는 교장 등에게 학교예산으로 경비를 지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 2월 양평군 내 일부 교장단이 해외여행을 다녀오면서 1천여만원의 학교예산을 사용한 사실을 확인, 해당 교장들에게 대해 경고 등 조치하고 해당 학교에는 지급된 학교예산을 회수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동일한 목적의 해외여행에 대한 학교예산 지급 기준도 명확하지 않아 평택 A고교는 2005년 중국에서 실시된 중등교장회 하계연수 참석 교장에게 학교예산으로 경비 70만원을 지급한 반면 같은 평택내 B고교는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교조는 국민의 혈세로 학교를 비우고 개인적인 해외여행을 다녀온 학교장들을 철저히 조사하는 동시에 부당하게 사용한 학교예산을 전액 환수하도록 할 것을 교육청에 요구했다. 또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것도 촉구한 뒤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 지지 않을 경우 감사원 감사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