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22일 야권 후보단일화 협상에 대해 “정치쇄신이 아니라 정치의 후퇴”라며 “다시는 이런 이벤트가 나오면 안된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한국방송기자클럽 주최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야권 단일화 협상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비판하면서 “정치의 본질은 민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일화에 매몰되다 보니 정책과 인물 검증이 실종되다시피 했다”면서 “오늘로써 대선이 27일 남았는데 아직도 야당 후보가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에 대해 “누가 더 쉬운 상대가 될 것인가는 별로 생각하지도 않았고 관심을 두지도 않았다”고 받아 넘긴 뒤 “좋게 생각한 적도 있었지만 실망스러운 모습을 요즘 많이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 후보에 대해 “자신이 몸담았던 정권에서 대통령의 최측근에서 보좌했던 분이라면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노무현 정권’에서 추진했던 한미FTA나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그 정권이 끝나고 지금 반대 주장하며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그 정권 때 대학등록금이 제일 많이 올랐다”며 “지금 와서 새누리당에게 책임을 지라고 하고, 반값등록금을 주장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안 후보에 대해서는 “현실 비판을 많이 하는데 해결책에 대해서는 ‘국민께 물어봐야 한다’고 한다”며 “민생 위기와 세계적 위기상황에서 국민이 안심하고 맡길 수 있겠는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야권 단일화에 대한 ‘맞대응 카드’에 대해 “특별하고 기발한 대응전략이라는 것은 없다”며 “어떤 정치공학도 진심을 넘어설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수장학회 문제에 대해서는 명칭변경 등 국민의 의혹해소 방안을 요구했던 지난 10월의 기자회견 내용을 언급하며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빌어서 요청을 거듭 정수장학회에 하겠다”며 “지금도 저는 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