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가 전국 73개 시단위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청렴도가 가장 높아 오산·의정부시와 함께 ‘1등급’을 받았다.
가평교육지원청과 함께 지방공사에서는 인천환경공단도 청렴도 평가 1등급을 차지했다.
이에 반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공기업 및 지방공사·공단 평가에서 바닥권을 면치 못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6일 627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민원인 16만854명과 공공기관 직원 6만6천552명, 정책고객 1만5천491명이 참여했다.
조사는 부패경험과 부패위험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부패사건이 발생하거나 평가 과정에서 신뢰도 저해행위가 드러날 경우 감점했다.
경기도는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대전·대구에 이어 전국 3번째로 높은 ‘2등급’에 머물렀다.
이는 지난해 1위에서 2단계 하락한 3위로 떨어진 것으로 내부청렴도와 정책고객 평가에서 저조한 성적을 받았기 때문이다.
도는 민원인이 평가한 외부청렴도에서는 8.3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소속직원이 평가한 내부청렴도는 10위인 7.64점에 머물렀다. 정책고객평가에서도 14위인 6.07점에 그쳤다.
이와 관련 도는 2010년 우수, 지난해 최우수(1위)에 이어 3년 연속 우수기관에 선정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자평했다.
인천광역시는 종합평가에서 3등급에 머물렀으나 내부 청렴도(8.4점)와 정책고객 평가(.6.67점)에서는 각각 1등급을 받았다.
특히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시단위로는 군포, 오산, 의정부시가 전국 1등급에 속했고, 용인시는 3등급으로 도내에서 가장 낮았다. 군단위로는 연천군이 전국 2등급 중 가장 높았으며, 가평군은 4등급으로 하위권을 기록했다.
시·도교육청의 경우 경기도교육청은 3등급에, 인천시교육청은 4등급에 각각 속했다.
도교육청은 2009년 11위에서 2010년 5위, 지난해 2위로 급상승하다 8위로 기관 청렴도가 되레 곤두박질쳤다.
중앙행정기관 중에는 법무부가 청렴도 최하위인 5등급을, 수사·단속·규제기관 중에는 검찰과 경찰이 5등급의 불명예를 함께 안았다.
광역자치단체 중에는 제주가 5등급, 서울·부산·전남·경남이 4등급을 받았고, 시·도교육청 중에서는 서울교육청이, 공기업 중에서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이 5등급으로 낙제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