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 개편 협상을 놓고 여야의 상호 비방전이 격화되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개편 협상의 막판 쟁점인 방송업무 이관에 대해 극명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고, 박근혜 대통령은 우선 13개 부처 장관에 이어 차관급 인사를 단행하면서 정상화에 나서고 있지만 국정 표류는 장기화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새누리당은 종합유선방송(SO)을 포함한 모든 방송업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되 방송공정성 담보방안을 마련하자는 입장을, 민주통합당은 SO를 방송통신위에 남기되 정보통신기술(ICT)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자는 주장을 각각 고수해 합의점 도출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미래부에 대해 “타협·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못박고, 민주당의 낙마 공세에도 불구하고 부적격론이 제기된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가 사퇴 거부의사를 밝히는 등 꼬일대로 꼬인 여야 대치정국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협상안 모색이 공전을 거듭해 방치되고 있고, 여야 지도부도 상호 비방전에 열을 올리며 여론몰이를 강화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북한 도발에 따른 국가비상상황임을 적극 부각시켜 조속한 정부조직 개편처리를 압박하고 있고,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책임론을 거론하며 대화·타협을 위한 박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긴급한 국정상황 고려 원칙 등 정부조직 개편 협상의 4대 원칙을 제시하면서 “국정 논의는 장사꾼의 협상과 달라야 한다”며 “구태의연한 정치적 기교를 부리는 것은 진실성이 부족한 것”이라며 민주당을 겨냥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마치 야당이 발목잡기를 하는 듯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비판했고, 박기춘 원내대표는 “마지막 1%의 합의만 남겨두고 있으나 대통령과 여당이 최후의 힘겨루기만 생각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