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정치혁신위원회가 13일 발표한 혁신안 초안에서 대선후보 및 당 지도부 경선에 선거인단에 ‘민주서포터즈’를 도입키로 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민주서포터즈의 개념이 모호하고 당원 역차별을 낳을 수 있는데다, 사실상 지난해 대선 경선의 모바일 선거인단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 때문이다.
민주당 정해구 정치혁신위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안 발표회 및 토론회에서 대선후보 경선 선거인단을 당원과 국민선거인단으로 구성하되 국민선거인단의 구성을 50%가 넘지 않도록 하는 혁신안 초안을 발표했다.
국민선거인단은 이번에 도입하기로 한 민주서포터즈와 일반시민으로 구성된다. 민주서포터즈는 권리 행사 시점으로부터 3개월 전에 등록하고 당 온라인 활동을 통해 정회원 자격을 획득할 수 있게 한 제도다. 당원 선거인단의 반영 비율은 대의원 30%, 권리당원 60%, 일반당원 10%로 구성된다.
혁신안 초안은 또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도입 ▲의원 및 당직자의 계파 해체선언 ▲대학별 대학생지회 및 직장별 직장지회 설치 ▲자치구·시·군 당원협의회 및 읍·면동 당원협의회 활성화 ▲온라인소통본부 및 민주미디어센터 설치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 민주정책연구원장의 임기를 보장하고 재정 및 인사권도 독립시키기로 했으며, 국회의원 공천 부문에서는 현역의원을 원칙적으로 전략공천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민주서포터즈는 불과 경선 3개월 전에 등록하면 선거인단 자격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난해 대선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모바일 선거인단 동원 논란을 재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제시된 혁신안 초안에는 민주서포터즈의 투표 반영비율만 나왔지 구성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아 향후 서포터즈 구성 및 운영 방향에 따라 민주서포터즈의 민심 왜곡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낳고 있다.
최원식(인천 계양을) 의원은 토론회에서 “등록만하면 투표권을 가질 수 있는데 누가 당원이 되려고 하겠는가”라며 “당비 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