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농식품을 구입하려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과 정육점을 더 많이 찾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은 11일 추석을 앞두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비자패널 702가구를 대상으로 추석 전 농식품 구입시기와 구입처별 농식품 구매행동을 조사·발표했다.
조사결과, 소비자 가구의 지난 3년(2010∼2012년)동안 추석 전(1∼15일) 전체 농식품 가구당 구입액은 평소보다 약 40% 증가한 25만4천원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소고기 2만425원, 돼지고기 1만7천122원, 사과 9천317원, 배 6천173원 등의 순으로 평소 가구당 구입액(일 기준)과 차이를 보이며 추석 특수가 반영된 소고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추석 주요 농식품의 시기별 구입액(일 기준)은 1∼3일 전이 9천109원으로, 4∼7일 전보다 2배, 8∼15일 전보다 3배 많이 구입해 추석이 다가올수록 농식품 구매가 많고, 추석 직후에는 평소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고기와 배, 홍삼은 1∼3일 전 구매가 가장 많았고, 사과는 4∼7일 전, 돼지고기는 8∼15일 전 구매가 가장 많았다.
추석 전(1∼15일) 사과의 구입처별 구입 비중을 보면, 전통시장 27.0%, 무점포(직거래 등) 21.8%, 대형마트 12.6%),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고기의 구입처별 구입비중은 정육점 31.4%, 대형마트 25.8% 순으로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 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상영 농진청 기술경영과장은 “조사결과, 사과 등 과일류는 8∼15일 전 또는 추석 직전(1∼3일)에, 소고기는 추석 명절에 가까워질수록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위해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