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인소유 토지를 보유한 사람이 우리나라 인구의 3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지난해 말 기준 토지소유현황 통계표에 따르면 개인 소유의 민유지(건물 부속토지 포함)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은 1천532만명으로 총 인구(5천95만명)의 30.1%에 달했다.
이들 토지 소유자 가운데 상위 50만명이 소유한 토지 비율은 55.2%로 2006년(56.7%)보다 1.5%포인트 감소했다.
토지소유자의 연령대는 50대가 27.8%로 가장 많았고 60대 24.4%, 70대 18.7% 순으로 조사됐다.
20대 미만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는 135㎢로 전체의 0.3%였다.
거주지별로는 전국 개인토지의 35.7%를 수도권 거주자가 소유했다.
작년 말 현재 우리나라의 토지면적은 10만188㎢로 2006년말(9만9천678㎢)에 비해 0.51%(510㎢) 늘었다.
민간 소유의 민유지가 전체의 52.6%(5만2천690㎢)를 차지했고 국·공유지 32.2%, 법인소유 6.5% 등으로 조사됐다.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48.9%(4만9천36㎢)로 가장 많았고 관리지역 22.8%, 녹지지역 11.3% 등이다.
토지소유현황은 통계누리(stat.molit.go.kr), 온나라 부동산(onnara.go.kr) 등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