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리유치원’ 개원 1년 연기 논란
화성시와 교육청 간 줄다리기로 동탄신도시 내 공립유치원 개원이 1년이나 미뤄져 논란이 되고 있다.
교육청은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려면 유치원 설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반대 민원을 이유로 화성시가 관련 심의를 매번 보류하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학부모에게 돌아가고 있다.
29일 화성오산교육지원청과 화성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3월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은 동탄1신도시(화성2권역)에 18학급, 정원 332명 규모의 단설 공립유치원인 가칭 ‘목리유치원’ 설립 계획을 수립, 자체 심의를 거쳐 지난 1월 187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후 교육지원청은 유치원 부지로 선정된 LH 소유 반송동 139번지는 총 면적 1만2천여㎡ 중 유치원 신설에 필요한 6천여㎡만큼 필지를 분할해 달라고 LH에 요구했다.
LH는 이를 받아들여 지난해 7월 획지(계획대지) 분할을 위해 화성시에 지구단위계획 변경 심의를 요청했지만, 시는 지금껏 아무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도시관리계획 권한을 가진 화성시 공동위원회는 지난 5월부터 최근까지 세 차례에 걸쳐 이 사안에 대해 주민의 반대 민원을 이유로 ‘재심의’, ‘보류’, ‘부결’ 결정을 내렸다.
시의 이같은 결정에 따라 교육지원청은 목리유치원 개원을 2017년에서 2018년으로 1년 연기해야 할 상황에 몰렸다.
동탄신도시의 한 공립유치원 관계자는 “민간 어린이집도 포화 상태라 ‘아이를 맡길 곳이 없다’는 주민이 한둘이 아니다”라며 “동탄 신도시 커뮤니티에서는 관련 글이 수차례 올라오는 등 부결 결정에 대한 불만이 가득하다”고 전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 관계자는 “화성 동탄신도시의 중학교 졸업생과 고등학교 정원수 비교 결과 배치율은 96%로, 고등학교 설립 필요성이 없다”며 “반면 공립유치원은 특수학급까지 포함돼 있어 반드시 필요한데도 추진하지 못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동위원회 심의가 열릴 때마다 수십명의 주민이 몰려와 고교 설립을 요구했다. 또 부지를 두고 주민들 각각 이해관계가 달라 고심하고 있다”면서 “동탄신도시 내 획지분할 또한 처음이다 보니 심의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성=최순철·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