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수년 전부터 약물 오남용이나 환경 오염 예방 등을 위해 적극 추진해 오던 ‘안 먹는 약 수거사업’을 올해부터 대폭 축소, 사실상 잠정 중단된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일각에선 ‘제약회사에서 압력을 가한게 아니겠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외압설’까지 나오고 있어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에 따르면 건보공단은 지난 2009년부터 유효 기간, 용도, 성분 등을 알 수 없는 약물을 잘못 복용해 건강을 해치거나 무분별하게 버려 환경을 오염시키는 폐해를 막기 위해 가정에 방치된 약을 대대적으로 수거하고 있다.
이에 건보공단은 그동안 178개 지사 별로 목표량을 정해 줬으며 지사마다 매년 목표량 달성을 위해 각종 홍보 등 다양한 활동까지 병행하는 적극적 행보를 보여왔다.
실제 건보공단이 해당 사업을 진행하면서 지난 2012년 4천500㎏, 2013년 5천95㎏, 2014년 5천400㎏ 등 지난 6년간 무려 28t 가량의 방치된 약을 수거해 긍정적 평가를 받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올해부터 건보공단은 각 지사별 목표량을 없애는가 하면 사업과 관련한 별다른 활동도 하지 않는데다 일부 지사의 경우 아예 사업이 종료됐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평가를 무색케 하고 있다.
더욱이 일부 직원들 사이에선 사업 축소 이유가 제약회사 외압 때문이라는 소문까지 퍼지고 있지만 정작 건보공단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 논란의 진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건보공단 A지사 관계자는 “공단에서 특화사업으로 3~4년 정도 진행됐다가 현재는 사업이 종료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예전에는 직원들이 집에 있는 약을 가져와 내기도 했는데 지금은 그런 게 없다. 직원들 사이에선 제약회사에서 압력이 들어와 중단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귀뜸했다.
이에 건보공단 관계자는 “사업 초기에는 직원들이 출장상담을 주로 나갔는데 현재는 유선상담으로 하다보니 약을 수거하기 어려워 지사별 목표량만 정하지 않고 있을 뿐이지 홍보 활동을 통해 수거는 계속하고 있다”며 “사업과 관련 제약협회와 업무협약까지 체결했는데 제약회사 외압은 전혀 있을 수도 없고 처음 듣는 소리다”고 밝혔다.
한편 건보공단은 지난 2009년 당시 의료기관을 자주 찾는 사람 8만명과 만성병 환자 및 의료쇼핑이 의심되는 사람 3만6천명,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심사 신청자 30만명 등 전국적으로 42만여 명의 가정을 직접 방문, 방치된 약을 수거하기 시작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