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생·현장중심의 교육행정을 위해 교육전문직원 인사제도를 큰 폭으로 개선한다.
14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합리적인 인사행정 구현을 위해 2016학년도 교육장, 도교육연수원장, 장학관을 헌신성과 전문성 검증을 통해 전원 공모제로 선발한다.
이에 따라 교육전문직원 경력자로 제한된 추천제를 폐지, 학교관리자 전체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현장평가강화와 교육생애평가, 발표 및 맞춤형 면접 심사 등이 주요 심사기준으로 삼게 된다.
또 퇴임관료나 교수 중심의 공모심사위원회도 관련 영역의 전문성 있는 현장 교원, 학부모, 지역사회인사로 구성해 위촉한다.
응모자격은 현임교에서 2년 이상 근무자로 한정하며 임기가 끝난 후에도 학교현장으로 복귀해 최소 2년 이상 근무할 수 있도록 기관장은 4년, 장학관은 5년 이상으로 잔여임기 요건을 대폭 강화한다.
특히 심사기준에 현장평가점수를 20%로 상향 조정, 구성원들로부터 60% 이상의 신뢰를 받지 못하면 발표 및 면접심사 점수와 무관하게 임용대상에서 제외된다.
교육혁신 실천의지와 전문성이 높은 인재를 임용하기 위해 장학사, 연구사 등 교육전문직원 임용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됐다.
중등전문직의 경우 전공논술 대신 정책논술 시험 도입과 수업전문성 평가를 강화, 다원평가 심층면접을 강화하고 동료들로부터의 근무평가를 10% 반영한다.
응시횟수도 총 3회로 제한해 지나친 과열경쟁으로 인한 학교현장의 파행을 예방하고, 교직에서의 실제 학생지도 근무 교육경력 강화와 보직교사 경력을 응시자격에 추가했다.
이밖에 ‘지역전형’과 ‘순환보직전형’ 제도도 도입해 소외지역의 교육활동지원 강화와 지역교육자치 실현을 위한 인적자원 확보를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이범희 교원정책과장은 “이번 교육전문직원 인사제도 개선안은 경기교육의 약속과 중점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과 실천의지, 현장중심, 학생중심의 헌신성을 가진 인사를 발탁해 중용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밝혔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