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월성원전 방사성물질 충격...조기 폐쇄 불가피했다

2021.01.11 13:02:58

 

경북 경주 월성원전 지하수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검출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 월성원전 조기 폐쇄는 불가피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수력원자력 조사 결과 월성원전 부지 지하수에서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가 기준의 17배 넘게 검출됐다"며 ”외부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하수에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외부 오염 여부 등을 정밀히 조사하고 처리해 주민들의 불안을 없애 드려야 한다"며 "이번 조사로 시설 노후화에 따른 월성 원전 폐쇄가 불가피했음이 다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일부에선 (월성 원전의) 조기 폐쇄 결정을 정쟁화하며 불량 원전 가동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는데, (이는) 참으로 무책임한 정쟁이었다"며 "감사원이 1년 동안 무엇을 감사했는지 매우 의아스럽다. 그동안 그런 의혹이 왜 규명되지 못했는지, 누군가의 은폐가 있었는지, 세간의 의심대로 '원전 마피아'와의 결탁이 있었는지 등을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월성 원전 조기 폐쇄를 고리로 정부·여당에 칼을 겨눠온 검찰·감사원·야당을 모두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신영대 민주당 대변인도 지난 9일 논평을 통해 "삼중수소는 유전자 변이를 초래하는 방사성 물질로 아직 누출 원인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렇듯 월성 1호기 주변 지역 주민들의 몸속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가 끊임없이 검출되고 있는데도 국민의힘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을 내린 정부 결정을 정쟁화하며 노후화된 월성원전 가동을 연장해야 한다고 우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월성원전 주변 주민들의 안전이 위험한 상황이기 때문에 원전 조기 폐쇄 결정의 경제성을 지적하는 것은 ‘정쟁’이라는 것이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10월 월성 원전 1호기 가동 중단에 있어 경제성 평가가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됐다"는 감사 결과를 내놔 논란이 일었다. 

 

감사원의 발표에 이어 검찰은 정부를 대상으로 월성 원전 1호기의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다. 

 

현재 월성 1호기 원전과 관련한 내부 자료를 대량 삭제하거나 이에 관여한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은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한편, 한수원 자체 조사에서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수 배수로 맨홀에 고인물에서 리터당 71만3천㏃(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월성원전 측은 고인 물은 액체방사성폐기물처리계통으로 전량 회수했으며, 이후 유입되는 물의 삼중수소 농도는 약 1만㏃(베크렐) 정도로 미미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

정영선 기자 ysun@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