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단일화' 불씨 살릴까…박용진 촉구 나섰지만 강훈식은 냉랭

2022.08.11 16:10:44 4면

박용진 "어떤 방식이든 용의" 회견…강훈식 "명분, 파괴력, 감동 없어"
당내서도 "이미 늦었다" 회의론 우세…'여론조사·李사법리스크' 변수 거론도

 

'이재명 대세론'으로 확연히 기울어져 가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추격 주자들의 단일화 논의가 의미 있는 변수로 떠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위를 달리는 박용진 후보가 11일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으로 묶이는 3위 강훈식 후보를 향해 다시금 단일화를 촉구하며 불씨 살리기에 나서면서다.

 

다만 강 후보가 이에 적극적이지 않은 데다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을 넘어 '확대명(확실히 당 대표는 이재명)'으로까지 불리는 선두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가 워낙 큰 터라 실효성이 없다는 회의론도 여전하다.

 

박 후보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이제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민심과 당심이 확인되는 방식이면 어떤 방식이든 강훈식 후보가 제안하는 방식으로 단일화를 이뤄낼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박 후보가 단일화를 촉구하고 나선 배경에는 사실상 이번 주말을 지나고 나면 전당대회 순회 경선이 반환점을 도는 만큼, 더 늦어지면 반전의 계기가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는 절박함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경선 첫 주에 합산 74.15%의 압도적 지지를 받은 이재명 후보가 오는 12일부터 진행되는 1차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우세를 이어간다면 대세론을 뒤집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1차 여론조사 결과는 14일 발표된다.

 

아울러 박 후보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상승 추세가 이어진다는 점에 주목하며 단일화를 통해 '경선 후반전'의 역전 불씨를 살릴 수 있다는 희망도 버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대와 달리 강 후보는 호응하지 않는 모습이다.

 

강 후보는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훈식이라는 사람이 민주당의 비전과 미래를 이야기하는 비행기를 띄워야 하는데, 그 활주로에 단일화라는 방지턱을 설치하는 느낌"이라며 "지금 시점의 단일화 논의가 명분, 파괴력, 감동 어떤 게 있느냐"고 말했다.

 

사실상 박 후보의 촉구에 거부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는 "냉정하게 말하면 저와 박 후보가 지난 주말 얻은 득표는 권리당원 전체의 1%가 안 된다"며 "아직 60% 넘는 권리당원이 참여하지 않고 있는데, 투표율 자체를 높여서 파이를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 후보 측 관계자도 "우리는 단일화에 대해 제안할 방식도 없고, 그럴 생각도 없다"며 "75%대 20%대 5%의 구도를 70%대 30%의 구도로 바꾸는 것보다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설령 두 후보가 극적으로 단일화에 합의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이 후보의 대세론이 벽이 너무 커서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이미 단일화하기에는 타이밍이 늦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대의원 투표(30%)와 일반 당원 여론조사(5%), 일반 국민 여론조사(25%) 등이 남아 있는 데다 투표할 수 있는 전체 권리당원이 117만9천여명에 달하는 만큼 아직 결과를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호남 및 수도권 권리당원의 수가 압도적인 만큼 3주차부터가 본격적인 경쟁이라는 것이다. 지난 주말 경선에 참여한 권리당원은 4만4천여명이었다.

 

검경이 이달 중 수사 완료를 목표로 이 후보 주변에 대한 수사 속도를 높이고 있어 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가시화되는 것도 변수일 수 있다는 주장도 일각에서는 나온다.

 

박 후보는 전날 토론회에서 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 및 이와 연관된 '기소 시 당직 정지' 당헌 개정 문제를 집중적으로 쟁점화하기도 했다.

 

박 후보는 단일화 시점에 대한 질문에 "자꾸 문 닫으려고 하지 말라"며 "(3주차 경선지인) 전주 등에서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 후보 역시 "비전과 파이를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면서도 "그런 게 만날 때 이야기할 수 있다"며 추후 논의 가능성은 열어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