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창업기업 5년 뒤 생존율 34%...OECD 평균 밑돌아

2023.10.03 11:03:59 5면

OECD 평균 45.4%, 숙박·음식점업 22.8% 그쳐

 

국내 창업기업의 5년 후 생존율이 30%대 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5년 후 폐업한다는 의미다.

 

3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받은 ‘창업기업 생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내 창업기업의 5년 차 생존율은 33.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45.4%)보다 11.6%포인트 낮았다. 생존율은 2020년 기준이며 OECD 평균은 회원국 38개 가운데 5개년 생존율을 발표한 28개국의 평균이다.

 

회원국별로 보면 스웨덴의 5년 후 생존율이 63.3%로 가장 높았다. 벨기에(62.5%), 네덜란드(61.9%), 룩셈부르크(55.4%), 오스트리아(53.7%), 그리스(53.3%), 프랑스(50.8%), 슬로베니아(50.6%), 미국(5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8개국 중 26개국이 한국보다 높았고 포르투갈(33.4%)과 리투아니아(27.2%) 두 곳만 한국 생존율에 미치지 못했다.    

 

국내 창업기업의 5년 후 생존율을 업종별로 보면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이 22.3%로 가장 낮았고, 숙박·음식점업도 22.8%에 불과했다. 사업지원서비스업(26.8%)과 도·소매업(29.7%)도 30%를 밑돌았다. 교육서비스업(30.2%), 출판·영상·정보서비스업(35.8%),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9.2%)이 30%대를 나타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55.4%로 가장 높았으며, 제조업은 42.8%로 집계됐다.

 

양 의원은 “정부의 창업지원을 통한 경제 활성화와 성장동력 발굴 노력에도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OECD 주요국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며 업종 간 폐업률의 편차도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를 지탱하는 제조업의 폐업률이 57%를 기록한 것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중기부는 창업기업의 양적 성장보다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백성요 기자 ]

백성요 기자 sypaek99@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