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전체 초중고의 23.4%인 586곳이 체육활동을 하는 학교 실내체육시설과 운동장이 협소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김용태(국힘·포천가평) 의원이 21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 1만 1901곳 중 15.3%인 1826곳이 체육장 기준면적을 미충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가 41.3%로 가장 높고 대구 31.3%, 경기는 2502곳 중 586곳으로 23.4% 순이었다.
경기 지역을 초중고로 구분하면, 초등학교는 1344곳 중 182곳이 기준면적 미충족으로 13.5%인 데 비해 중학교는 668곳 중 213곳으로 31.9%, 고등학교는 490곳 중 191곳으로 39.0%를 기록해 30%를 넘은 것으로 밝혔다.
현행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에 따르면, 학생 수에 비례해 일정 규모 이상의 체육장이 확보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신설 학교 근처에 사용 가능한 공공체육시설이 있거나, 도심지 및 도서·벽지 등에 여건상 기준면적 규모의 체육장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규정을 지키지 않아도 되는 예외 조항을 두고 있어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이 요된다.
김 의원은 “실내체육시설과 운동장은 각기 다른 교육적 기능을 가지기에 구분돼야 한다”며 “최근에는 폭염과 한파, 미세먼지 등과 같은 기후변화로 실내체육시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학교체육시설은 단순 경제적 논리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소통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