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이 남북 기후변화 대응을 매개로 한 한반도 교류·공동 번영 기반 마련에 나섰다.
수출입은행은 통일부·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함께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25 한반도 기후환경협력 포럼’을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통일부·기후에너지환경부와 공동 개최됐으며, 정부의 ‘평화·공존과 번영의 한반도’ 국정운영 계획과 연계해 남북교류협력의 구체적 정책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지난 8월 ‘평화·공존과 번영의 한반도’를 포함한 국정운영 5대 계획·32대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번 포럼은 기후환경협력의 구체적 실행 전략을 논의하는 후속 작업으로 진행됐다.
행사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기후변화 공동 대응’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 토론이 이뤄졌다. 군무용 북핵대학원 교수, 사회 갈등·정책 전문가,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관계자,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사무처장 등이 참여해 기후 리스크, 농어촌 환경, 취약계층·아동 건강 문제 등 다층적 기후 이슈를 놓고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기획세션에서는 글로벌 인도주의 허브 대표가 기후변화 공동 대응을 통한 남북교류협력 복원 필요성을 발표하며 “환경협력이야말로 남북이 정치적 갈등을 넘어서 실질적 교류의 문을 다시 열 수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
황기연 수출입은행장은 “기후변화 대응은 남북교류협력 추진을 위한 공감대 형성과 정책 연계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향후 수출입은행도 평화·공존과 한반도 번영을 위한 금융적·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