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2지구 택지개발과 관련, 고봉산 습지를 원형보전하기 위해 5년여에 걸쳐 전개돼 온 습지보전 운동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고봉산 보전 공동 대책위는 17일 고봉산 습지(C-1블록)를 고양시가 매입하라는 주공의 제안에 대해 문제의 해결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고양시의 결단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그동안 고양시, 국회의원, 시의원들이 한 목소리로 고봉산 습지를 원형 보전해 후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해 왔다"며 "특히 2년전 고양시가 고봉산 습지 보전의 해법으로 당시 시는 수백억 원을 들여서라도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제시한 만큼 이제는 주공의 제안에 대해 고양시가 결단을 내릴 때"라고 주장했다.
또 수년에 걸친 노력으로 이제 고봉산 습지에 대한 원형 보전에 대한 길이 열렸다며 주공에서 고봉산 C-1블럭에 대한 공사를 사실상 포기했기 때문이라며 그 동안의 성과에 대해 무게를 실었다.
대책위는 이어 "주공측이 C-1블럭 1만5천평 중 4천평을 공공시설 부지로 고양시가 150억에 매입해 달라는 것과 풍산역 입체화 비용의 절반인 200억원을 경기도와 고양시가 보조해 달라는 요구를 해왔다"고 전제하고 "4천평을 공공시설 부지로 매입하면 고양시의 땅이 되는 것이고 또 풍산역 입체화 비용의 50%인 200억의 경우도 경기도에서 40% 지원이 가능한 만큼 고양시가 60%에 해당하는 120억에 대한 예산을 연차적으로 승인해 주면 가능한 일"이라며 시의 결단을 촉구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고봉산 습지 원형 보전 문제는 시장의 선거 공약과 수차례의 시정 질의에 대한 답변, 그리고 현장에서 시민들에게 약속했던 사항"이라며 "더구나 31명의 고양시의원들의 요구가 담긴 것이고 주공측이 고양시에 연차적으로 지불할 것과 지불액에 대한 조정 의사도 비치는 등 모든 여건이 성숙된 만큼 이제 시의 결단만 남았다"고 강조했다.